SKT, 와이파이도 가상화 장비로 속도 개선

일반입력 :2015/04/14 09:41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T와이파이 체감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와이파이 가상화 장비인 ‘클라우드 AC’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고 14일 밝혔다.

클라우드 AC는 와이파이 트래픽이 몰릴 경우 가상의 서버를 만들어 해결하는 장비다. 특히 가상의 서버는 이미 구축돼 있는 기존 서버의 남는 용량을 활용하는 만큼 트래픽 밀집지역에 별도의 서버를 설치해야만 하는 현재 와이파이 서버 운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서버를 별도로 구축할 경우, 발생하는 비용 부담이나 장애 발생 시 직접 현장을 찾아가야 하는 등의 어려움도 상당부분 덜 수 있다.

SK텔레콤 클라우드 AC에는 와이파이 사용 중 장소를 옮길 경우 발생 가능한 접속 끊김 현상을 개선하는 ‘패스트 핸드오버’ 기술도 적용됐다. 접속 끊김 현상은 와이파이 사용자가 접속 중인 AP 서비스 범위를 벗어나 다른 AP 범위로 넘어가는 서비스 경계지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에 패스트 핸드오버는 사용자 위치에 따라 인근의 AP로 자동으로 연결, 와이파이 접속이 끊기는 문제를 최소화했다.

관련기사

동일 AP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일정 수준의 자원 사용을 보장 받는 ‘자원 최적화’ 기술도 클라우드 AC에 적용됐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을 통해 AP와 가까운 스마트 기기가 와이파이 자원을 독점해 AP와 멀리 떨어진 사용자는 와이파이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겪는 문제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와이파이 서비스에 가상화 기술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고객의 와이파이 사용 편의를 큰 폭으로 제고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에도 차별화된 신기술과 장비의 도입을 통해 고객들이 한 차원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