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망, SKT-LGU+ ‘재촉’ vs KT ‘천천히’

이통3사 온도차…국회 탓에 4월 이후로 늦춰질수도

일반입력 :2015/02/11 11:34    수정: 2015/02/11 11:44

이동통신 3사가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 구축 사업 수주를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LG CNS가 진행 중인 재난망 구축 사업의 정보화전략계획(ISP)이 최종 확정되면 강원도 평창‧정선‧강릉 지역에 470억원 규모의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해당 결과를 토대로 본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안전처는 시범사업을 재난관리센터, 기지국, 네트워크, 단말 등을 하나로 묶어 발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에는 8개 시‧도, 2017년까지 서울‧경기 등 수도권과 5대 광역시까지 재난망 구축 지역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당초 정부는 1월 중 ISP가 결정되면 입찰제한요청서(RFP)를 발송하고 3월께 시범사업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었으나 현재는 이 같은 추진 일정이 다소 지연돼 있는 상태다.이 때문에 이동통신 3사간 치열한 신경전까지 벌어지고 있다. 대법원으로부터 제재를 받은 KT의 경우 4월8일까지 정부 사업에 참여할 수 없어 최대한 경쟁자 없이 사업수주에 나서야 하는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는 “예정대로 시범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며 정부를 재촉하고 있다.

시범사업이 예정대로 올 연말까지 진행되려면 정부가 서둘러 RFP를 발송하고 시범사업자 선정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 이들 사업자들의 주장이다.

반면, KT는 “특정사업자 때문에 지연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며 조심스런 입장이다. 이와함께 700MHz 실험국 운용 등을 진행하며 조용히 사업참여를 준비중이다.

이통 3사가 재난망 사업에 치열하게 공을 들이고 있는 이유는 2018년으로 예정된 전국 재난망 구축 사업이 1조7천억~2조1천억이 소요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기 때문이다. 매년 실적 악화에 시달리는 통신사업자로서는 놓칠 수 없는 기회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특히 테스트베드인 시범사업권을 확보하야만 향후 본 사업을 따낼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자 간 경쟁이 더 치열한 상태다.

때문에 KT는 4월8일 이후 시범사업자 선정이 이뤄지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지만,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향후 단말기 발주 등을 고려해 정부가 빨리 움직여 주기를 바라는 상태다.

관련기사

그러나 최근 국회에서 다시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시범사업 자체도 다소 순연될 가능성이 커졌다. 국회는 수조원이 소요되는 재난망 사업의 철저한 검증과 국제 표준 미비 등을 우려하면서 시범사업 일정을 ISP 확정 이후가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시범사업이 연기되고 있는 것을 두고 특정사업자 봐주기나 ISP 수립 지연 등 다양한 이유 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사업자 간 경쟁이 그만큼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현재 진행 상황을 고려하면 시범사업자 선정은 KT까지 참여하는 4월8일 이후가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