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다시 기승, 주의경보 발령

일반입력 :2014/06/30 18:18    수정: 2014/07/01 08:10

손경호 기자

#서울시경찰청 금융관리팀 수사관이다. 금융사기사건이 발생했는데 이중 당신 통장이 불법자금세탁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명의도용방지신청을 위해 사이렌24 사이트에 들어가 통장계좌번호, 비밀번호, 보안카드 번호를 입력하라. 확인해 보니 통장의 돈을 금융감독위원회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이체하면 보안등급을 올린 다음 재입금시켜주겠다.

#휴대전화 2대가 개통됐는데 이 중 한 대가 명의도용됐으니 해지해주겠다. 경찰 도움을 받아라. (잠시후 경찰관을 사칭해) 이 업무는 경찰업무이니 통장에서 더이상 돈이 인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계좌번호 알려줄테니 은행에서 가서 돈을 보내라.

지난해 12월 보이스피싱 피해방지 종합대책 발표 이후 감소세를 보였던 보이스피싱이 최근 다시 시긍을 부리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3% 증가했다. 1건당 평균 피해금액도 1.31배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법무부, 경찰청, 해양경찰청, 금융감독원 6개 기관으로 구성된 전기통신금융사기 방지대책협의회 합동으로 30일 보이스피싱 주의경보를 발령했다.

정부는 최근 사기조직들이 스미싱, 파밍, 피싱 등 해킹수법을 동원한 사이버 기술형 범죄의 수익률이 떨어지자 다시 보이스피싱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은 납치 등 사고발생을 가장한 사례가 감소한 반면 금융사기에 대한 불안감을 역이용하는 유형이 잦았다. 경찰을 사칭해 통장 명의도용 방지를 위한 계좌정보 요구, 금융기관을 사칭해 스미싱 방지를 위한 보안정보 요구, 통신사를 사치해 요금 환급, 휴대폰 부정결제 방지를 위한 개인정보 요구가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경찰 등 공신력 있는 수사기관을 사칭한 수법도 크게 증가했다.

사기조직들은 여러 기관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피해자의 의심을 최소화했다. 경찰을 가장해 불안감을 조성한 뒤 금융기관을 사칭해 다시 전화를 거는가 하면, 금융기관 담당자인 것처럼 속여 금융사기에 연루됐다고 알린 뒤 금감원에 신고해야 한다며 사기범의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수법도 등장했다.

정부는 보안강화를 빙자해 특정 사이트 접속, 현금인출기로 유도하거나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는 사기일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공공기관, 금융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 개인정보,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문자메시지를 통한 전화요구에는 대응하지 않도록 하며, 피해 발생시 경찰청 또는 금융회사에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할 경우 경찰청(112), 금융회사 콜센터에 신고하고, 금감원 피해상담 전화(1332)를 통해 사기계좌의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관련기사

정부는 앞으로 관계기관, 금융회사 홈페이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보이스피싱 주의사항을 게시하고, 이메일을 발송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 경찰 관서별로 밀착형 홍보를 추진하는 것과 함께 노인, 여성 등 범행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수법 및 피해예방 활동을 벌인다.

이와 함께 경찰은 올해 전화금융사기 연중 상시단속을 추진하며, 경찰관서 간 전국적인 공조수사를 활성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