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1분기 영업익 1천520억…58.6%↓

보조금 탓…당기순손실 410억원 적자전환

일반입력 :2014/04/30 09:20    수정: 2014/04/30 11:27

정윤희 기자

KT가 ‘보조금 대란’ 후폭풍이 그대로 실적에 반영, 부진한 1분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KT(대표 황창규)는 연결기준 1분기 매출로 유선매출 감소와 상품매출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하락한 5조8천461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마케팅비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6% 하락한 1천520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보조금 대란이 발생하며 사업자간 경쟁 강도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KT는 마케팅 비용으로 7천752억원을 쏟아부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1.1%,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2.6% 늘어난 금액이다.

당기순손실은 41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와 비교해 적자전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무선분야 매출은 LTE 가입자 확대를 통한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조7천834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말 LTE 가입자는 863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52.4% 비중을 기록했다.

무선 ARPU는 3만2천902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3%, 직전 분기 대비 5.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대비 1분기 ARPU가 상승한 것은 KT가 유일하다.

유선분야 매출은 유선전화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한 1조4천201억원을 기록했다. 유선전화 매출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나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KT는 초고속인터넷의 안정적 성장세를 기반으로 현재 IP 기반 가입자 규모를 지속 확대해 유선분야 매출 하락세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콘텐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7% 성장한 3천696억원을 달성했다. IPTV는 1분기 19만명의 순증을 기록하며 516만명의 가입자를 유치했다. 특히 IPTV는 유료 콘텐츠 이용료 등 부가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약 25.5% 성장하면서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올해80만명 이상의 가입자 순증을 목표로 잡고 부가수익 창출을 통해 IPTV의 성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금융/렌탈 매출은 BC카드의 안정적 매출과 KT렌탈의 활발한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9천865억원을 달성했다. 기타서비스 매출은 부동산 개발매출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7% 하락한 2천992억원을 기록했다.

김인회 KT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KT는 비상경영 선포, 사업합리화, 특별명예퇴직을 단행하며 비장한 자세로 경영정상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전 임직원이 필사의 각오로 위기 극복에 나서고 있다”며 “KT는 오랫동안 1등을 해 온 기업이며, 100년 역사를 가진 국민기업으로서 이 위기를 반드시 극복하고 ‘1등 KT’를 실현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