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모바일·해외서 승부낸다"

'국내용' 딱지 떼고 수익성 극대화에 주력

일반입력 :2014/01/07 15:13    수정: 2014/01/07 18:23

남혜현 기자

올해 포털·SNS 등 주요 인터넷 업체들은 어떤 전략을 세웠을까. 어디를 기회의 땅으로 봤을까. 시시각각 변하는 인터넷 비즈니스 세계에서 연초에 잡는 1년치 전략은 의미가 없을지 모른다. 그러나 큰 그림은 그려야 한다. 그래야 방향을 잡아 적절한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어서다.

7일 네이버, 다음, 카카오에 따르면 세 업체는 올해 목표를 모바일서 약진과 상생에 잡았다.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에 매진하고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지난해부터 화두로 떠오른 상생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캠프모바일-라인' 선봉장…'국내용' 딱지 뗀다

네이버는 올해 모바일에 주력한다. 자회사인 캠프모바일을 통해 런처와 밴드를 해외로 확장한다. 국내서 기반을 닦은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사용자 확대에 총력한다. 일본, 타이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를 우선 겨냥했다.

이미 3억명 가입자를 확보한 라인은 연내 미국과 유럽으로 영향력을 확대한다. 연내 목표 가입자수는 5억명. 그간 일본, 동남아를 중심으로 성장했다면 이제 그 무대를 미국과 유럽으로 넓혀 글로벌 SNS로 자리 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최대 공략지는 유럽이다. 이 외에 러시아를 비롯한 브라질, 인도 등 인구 규모가 큰 국가에서 마케팅을 진행해 세계 시장서 입지를 공고히 하는 전략을 세웠다.

네이버 측은 라인이 세계 시장 개척을 통해 거둔 성공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자사 다른 모바일 서비스에 공유할 계획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서비스 전략을 통해 시장의 기회를 담보하고 역량이 있는 서비스에 집중해 이용자 규모를 만들어 사업적 기회를 모색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는 올해 벤처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 스타트업 지원을 지속 진행하고 콘텐츠 창작자 지원사업, 중소상공인을 위한 사업 등도 의지를 가지고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음 '선택과 집중'…이용자 기반 확대

다음은 올해 '선택과 집중'을 한다. 지난해 연말, 새 목표에 대한 큰 틀을 짰고 현재 구체적 전략을 조율하는 중이다. 잘 되는 사업에 집중하고 새로운 먹거리을 찾아낸다는 계획으로 요약된다.

우선 주요 매출원인 검색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한다. 검색은 포털 최전선에 있는 핵심 서비스다. 사용자 경험(UX)을 혁신해 매출과 직결되는 검색 기반을 다져 안정적인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물론 모바일을 빼놓을 수 없다. 올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런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 런처는 스마트폰 첫 화면을 활용하는 서비스인데, 마케팅 효과가 뛰어나 최근 여러 업체들이 해당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안정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쏠메일, 쏠캘린더 등도 올해 다음이 힘을 주는 사업부문이다. 다음이 지난해 받았던 가장 큰 지적은 아직까지 큰 성공을 거둔 모바일 플랫폼이 없다는 것이었다. 때문에 해외서 인지도를 쌓은 쏠 브랜드에 집중해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것이 다음에 떨어진 특명이다.

이 외에 사용자 유입을 위한 콘텐츠 확충에도 주력한다. 다음은 지난해 창작자와 공동 기획해 만든 '스토리볼'을 선보였다. 올해는 스토리볼을 중심으로 온라인 공모전을 계획중이다. 다음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동의의결안'에도 스토리볼을 중심으로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검은사막, 위닝펏 등을 필두로 하는 게임 사업도 올해 본격화한다.

다음 관계자는 올해 선택과 집중을 뚜렷하게 해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 내년 상장 목표…수익성 극대화

카카오는 내년 5월 상장을 목표로 내실을 다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카카오톡 가입자 수 1억3천만명. 어느정도 성공했으니 상장해야 하지 않겠느냔 투자자들 압박도 세다. 다만, 당장 연내 상장보다는 실적을 키워 더 높은 기업 가치를 평가 받아야 한다는 목표를 올해 세웠다.

수익 사업으론 1천만 가입자를 확보한 카카오스토리에 무게를 두고 있다. 카카오톡에 도입해 효과를 봤던 '플러스 친구'를 카카오스토리에 집어 넣겠다는 것이다. 이용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글 목록(피드)에 표출시키는 수익 모델을 구상했다. 연초 출시 계획으로 지난해부터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중소 상인들이 큰 비용 안들이고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할 채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입점하는 기업들에 받는 비용은 카카오톡보다는 적고, 친구 수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전망했다.

해외 시장 성공, 게임하기 외에 수익모델 창출 등이 카카오에 급한 불이다. 카카오톡을 국내서 확장하는 것은 한계가 왔다. 이미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상당수가 카카오톡을 이용한다. 라인, 위챗 등 쟁쟁한 경쟁자들과 겨루려면 몸집을 키워야 한다. 필연적으로 해외 진출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그러나 카카오는 지난해 동남아 시장에 진출해 쓴 맛을 봤다. 몸집이 작아 의사소통은 빠를 수 있어도, 경쟁자들과 싸워 이길 자금은 부족했다. 올해 카카오는 마케팅 비용에 집중하는 대신 현지화를 통해 동남아 시장을 공략한다. 또 중국 시장에 대한 공부를 이미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매출이 게임에 편중된 것도 카카오에게는 위험부담이다. 카카오가 모바일 게임 시장을 키운 주요 플랫폼인 것은 부정하기 어렵지만, 이용자나 게임 개발 업체 일부에선 카카오 게임하기에 피로 현상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가 계속해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고, '2015년까지 수익을 내는 100만 파트너 확보'를 목표로 삼는 것도 수익원 다변화 시도와 맞물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