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지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형 콘텐츠 업체부터 스타트업 기업, 파워블로거 등 개인들까지 ‘돈을 벌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카카오페이지 애플리케이션(앱)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카카오페이지는 음원·이미지·텍스트·동영상 등 디지털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제작해 사고팔 수 있다’는 콘셉트의 장터다. 지난 7일 저작툴이 공개됐다.
19일 카카오 관계자는 “저작툴 공개 이후 입점 문의를 해온 콘텐츠사업자(CP)만 300여곳에 이른다”며 “제휴 기반 서비스가 아니다 보니 공식적으로 파트너사를 집계할 수 없지만 오픈 시점에는 상당 수의 콘텐츠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https://image.zdnet.co.kr/2013/02/19/JUgNsHjyNOh9fItT3y1o.jpg)
콘텐츠가 확보된 이상 이용자 집객은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자신감이 엿보인다. 카카오는 7천600만 가입자 카카오톡과 3천500만 카카오스토리를 통해 카카오페이지 콘텐츠 확산을 꾀할 방침이다. 이 일환으로 카카오톡 채팅방을 옆으로 밀면 나오는 채팅플러스 화면에 카카오페이지 로고를 노출하고 ‘카카오톡 친구와 함께 보기’, ‘친구 콘텐츠 보관함 구경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등의 소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애플, 구글 등 기존 앱 장터에서 최신순, 별점순, 판매순, 추천 등으로 판매항목을 구별하는 것과 달리 카카오페이지는 ‘친구랭킹’을 내세웠다. ‘카카오 게임하기’에서 친구랭킹이 게임의 동기 부여로 연결돼 서비스 확산을 이끌었던 것과 같은 골자다.
친구랭킹은 곧 ‘믿음가는 추천’으로 이어진다. 일반 앱 장터가 선정한 추천 앱보다 신뢰성이 높을 것이라는 기대다. 카카오 관계자는 “영향력 있는 누군가의 추천보다 주변 지인의 추천이 더 효과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서비스 론칭 이후 2개월 내 1천만 이용자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카카오페이지의 친구 유입 효과에 대한 CP들의 기대감은 높다. 카카오페이지용 앱 ‘라이프러리’ 서비스를 준비 중인 록큰롤비즈니스 오탁민 대표는 “카카오톡 친구들이 서로 가장 많이 본 콘텐츠를 통해 관심사를 공유하면 저절로 이용자 유입이 늘어날 것”이라며 “카카오의 소셜그래프 안에서 자연스럽게 바이럴(입소문)이 이뤄질 것이라고 보고 20대 중반 여대생을 타깃으로 한 비디오 매거진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image.zdnet.co.kr/2013/02/19/lIFt6suVxukTOU2SYf4m.jpg)
이어 “카카오페이지가 전면 유료화를 표방하고 있지만, 1화는 무료고, 2화도 사용자가 주위 2명에게 추천하면 무료로 제공한다는 방침이어서 초반 사용자 끌기도 유효할 것”이라며 “추후에는 한달 이용권, 패키지 상품 등 다양한 가격 정책이 적용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카톡 친구 초대해 사진 앨범 꾸민다2013.02.19
- 카카오, 카카오페이지 저작툴 공개2013.02.19
-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창업 이야기2013.02.19
- 카톡 대화 도중 사다리 타고 궁합 본다2013.02.19
카카오페이지가 스타트업 기업에만 기회를 열어준 것은 아니다. 모바일 앱 시장에서 콘텐츠 유통 경로가 한정돼 있다 보니 고민이 깊었던 기존 대기업도 새로운 수익창출 기회를 노릴 수 있게 됐다. 현재 가장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곳은 국내 최대 종합 콘텐츠 기업 CJ E&M이다.
CJ E&M 관계자는 “모바일 이용율이 높은 20, 30대를 주요 대상으로 기존 콘텐츠를 모바일향 콘텐츠로 재가공해 카카오페이지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예컨대 요리 전문 방송채널 ‘올리브’의 콘텐츠를 ‘자취 요리 전문 레시피’, ‘10분으로 한 상 차리기’ 등의 레시피 콘텐츠로 재편집해 판매하는 식이다. 이 관계자는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해 모바일 유저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