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아몰레드 청색소재 세계 첫 개발

일반입력 :2012/11/05 16:06    수정: 2012/11/05 16:24

정현정 기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소자에서 청색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유기전자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은 고려대학교 에너지미래연구실 강상욱 교수 연구진이 카보란(C2B10H12) 물질을 새로운 광전기 특성을 지닌 물질로 변환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해 AMOLED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아 한국디스플레이연구조합 주관으로 2007년부터 진행된 ‘OLED 유기재료 핵심기술 개발’ 과제의 결과물이다. 연구진은 카보란을 AMOLED의 청색인광소자 발광층에 적용해 뛰어난 안정성과 높은 효율을 가지는 소자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관련기사

연구조합 측은 이번 연구 결과는 노벨상을 수상한 탄소 기반 물질인 버키볼(C60)이나 그래핀과 경쟁할 만한 새로운 형태의 물질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OLED 조명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붕소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광화학적·광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물질 개발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JACS)와 독일 와일리(WILEY)에서 발간하는 안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ACIE)에 각각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