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부산에 컨테이너 데이터센터 구축

일반입력 :2012/09/05 09:34

한국의 첫번째 컨테이너 데이터센터가 오는 12월 부산에 들어선다.

LG CNS(대표 김대훈)는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도입한다고 5일 밝혔다.

이 회사는 부산데이터센터 1층 외부에 20피트 규모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오는 12월 부산데이터센터와 함께 완공할 예정이다. 구축되는 LG CNS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서버 500여 대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일반적인 데이터센터 구축 기간은 1년 이상이다.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4~5개월 만에 구축을 완료할 수 있어 해외에서 서버 인프라의 빠른 확장을 요구하는 IT기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다.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서버를 수용하는 IT컨테이너와 발전시설, 냉각설비, 항온항습장치 등 운영설비를 탑재하는 서비스 컨테이너로 구성된다. LG CNS의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IBM의 PMDC 솔루션을 사용한다. 단, 컨테이너에 해당하는 핵심 운영 기술은 LG CNS 자체 솔루션을 적용한다.

LG CNS는 부산데이터센터의 면진설비 위에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구축, 최고 수준 지진 대비 안정성을 확보했다. 부산데이터센터의 보안체계를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물리적 보안이 취약하기 쉬운 컨테이너 데이터센터의 한계도 극복했다.

특히 LG CNS만의 공조시스템을 적용했다. LG CNS는 부산데이터센터 지하 면진설비층의 빈 공간을 활용해 이를 통과하는 공기 온도를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떨어뜨릴 수 있는 공기미로를 설계했다. 지하로 유입되는 바깥 공기(외기)의 온도를 낮춰 서버 냉각에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외기공조 솔루션은 겨울철에만 적용 가능한 타 외기공조 방식과 달리 1년 내내 가동 가능하다. 때문에 서버 냉각을 위한 서비스 컨테이너가 필요 없다.

전력 및 냉방 인프라도 이중화했다. 이 회사의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는 전용건물인 부산데이터센터의 전력 및 냉방 인프라를 백업 자원으로 활용한다.

관련기사

LG CNS는 이번에 구축되는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빅데이터 등 첨단 서비스에 우선 활용할 예정이다.

김종완 LG CNS 인프라솔루션사업부문장은 “대한민국을 대표할 글로벌 클라우드 허브인 부산데이터센터와 더불어, 국내 최초 컨테이너 데이터센터를 선보이게 됐다”며 “빠른 구축이 가능한 컨테이너 데이터센터의 장점과 함께 안정적인 무중단 서비스를 보장하는 LG CNS만의 컨버전스 모델에 대한 해외 고객들의 관심 또한 매우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