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로 3D방송 본다…SKT, 최초 시연

일반입력 :2012/07/09 14:45    수정: 2012/07/09 14:49

정윤희 기자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은 9일 상암동에서 열린 ‘3D 기술&장비 지원센터(3D Media Lab)’ 개소식에서 세계 최초로 LTE망을 통한 3D 방송 영상 송출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3D 미디어 장비와 LTE 네트워크를 연동, LTE망을 통해 3D 방송을 송출했다. 3D 콘텐츠는 좌우 눈으로 보는 화면을 별도로 각각 송출하기 때문에 용량이 일반 콘텐츠 대비 2배 이상 크다. 따라서 3G망에서는 전송이 불가능했지만 LTE에서는 속도나 끊김 현상(Latency)이 크게 개선돼 3D 콘텐츠 송출이 가능해졌다.

SK텔레콤은 망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화질의 영상을 보내기 위한 효율적인 동영상 압축 기술 등을 적용해 시연을 진행했다. SK텔레콤은 3D 방송 시연에 대해 “향후 LTE망을 통한 3D방송이라는 진정한 방통 융합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3D 미디어랩’은 3D 영상을 직접 제작하거나 장비를 임대하는 동시에 ▲3D 콘텐츠 촬영과 편집, 녹음, 상영 등이 가능한 3D 영상제작시설 ▲3D장비의 품질 비교 등을 위한 테스트 환경 ▲3D 전문기업 육성 및 산학 공동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하호성 SK텔레콤 공공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의 LTE 2.0 운영 역량으로 이종산업간 융합이 가능해졌다”며 “LTE망을 통한 방송영상신호 송출 시연이 이종산업간 융합이 본격화되는 첫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D 미디어랩’은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3D융합산업협회(3D FIA)가 국내 3D 산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SK텔레콤은 SBS아트텍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를 수주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1월 사업 수주 이후 3D영상 제작 및 영상 미디어 플랫폼 구축, LTE망을 통한 3D영상 실시간 전송 솔루션 등 제작에서부터 전송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의 축적된 역량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