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S3 LTE 99만원? 105만원?

일반입력 :2012/06/26 10:42    수정: 2012/06/26 10:51

김태정 기자

“아무래도 100만원 넘기면 팔기 어렵죠”

“갤럭시노트(99만9천원)보다 싸면 안 되는데”

삼성전자 ‘갤럭시S3 LTE’가 소비자들의 심리적 저항선인 100만원을 넘어설 지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00만원을 넘어선다면 국내 스마트폰으로는 첫 사례다. 하지만 최고가 이미지를 지키려는 삼성전자와 팔기 좋게 가격을 내리려는 이동통신사 간 간극이 여전히 크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03~105만원, 이동통신3사는 97~99만원을 ‘갤럭시S3 LTE’ 출고가로 정하고 물밑 협상 중이다. 전날 삼성전자의 갤럭시S3 국내 미디어행사 후에도 양측의 협상에 진전이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국내형 ‘갤럭시S3 LTE’ 가격을 100만원 아래로 책정하기가 난감하다. 갤럭시노트를 99만9천원에 내놨기에 ‘갤럭시S3 LTE’를 이보다 낮게 출시하면 이미지 마케팅에 걸림돌이 된다.

기기 사양도 엑시노스 쿼드코어 프로세서와 2GB RAM, 음성인식 등 최신 사양으로 무장, 출고가를 90만원대에 맞춰달라는 이동통신사 요구는 무리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갤럭시S3 LTE’ 출고가가 90만원대로 결정됐다는 소식이 나왔지만 삼성전자는 사실무근이라고 공식 부인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동통신사들과의 갤럭시S3 LTE 출고가 협상이 막바지에 들어섰다”며 “제품 사양이 역대 최고임을 감안해 합리적 가격을 책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통신사들은 100만원대 출고가로는 ‘갤럭시S3 LTE’ 경쟁이 어렵다고 설명한다. 제조사인 삼성전자의 판매 장려금과 이동통신사 보조금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출고가가 100만원을 넘어서면 보조금과 요금제에 따른 할인을 받아도 경쟁 제품 대비 할부원가는 눈에 띄게 차이 날 전망이다. 갤럭시S3에만 보조금을 밀어주는 것도 이동통신사들에게는 부담스럽다.

관련기사

한 이동통신사 고위 관계자는 “갤럭시노트 출고가를 100만원에서 1천원 모자란 99만9천원에 정한 것도 소비자의 심리적 장벽을 삼성전자가 우려했기 때문”이라며 “유통현장 분위기는 90만원대 출고가로 맞춰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SK텔레콤이 단독 판매하는 ‘갤럭시S3 3G’ 가격은 2년 약정 기준 월 요금제에 따라 ▲4만4천원에 40만1천400원 ▲5만4천원에 29만2천200원 ▲6만4천원에 23만9천400원 ▲7만9천원에 16만200원 ▲9만4천원에 2만8천200원 등이다. 약정 없는 기기 값은 90만4천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