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태양흑점 폭발…“영향 분석중”

일반입력 :2012/01/28 11:17    수정: 2012/01/29 15:21

올해 들어 관측된 것 중 가장 큰 규모의 태양흑점 폭발이 발생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원장 임차식)은 28일 오전 3시25분경 태양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3단계(주의)급 태양흑점 폭발 상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번 태양흑점 폭발 이후 약 8분 만에 지구에 도달한 태양X선에 의해 미국, 캐나다, 남미 지역에서는 약 1시간 정도 단파통신 두절 현상이 발생했다. 우리나라는 당시 밤 시간대로 태양 반대편에 위치해 태양X선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전파연구원 측은 “태양흑점 폭발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나 코로나물질이 지구에 도달할 경우 단파통신 장애, 위성 전지판 손상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지속적인 태양활동 관측과 대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코로나물질은 태양을 구성하는 양성자, 전자, 헬륨이온 등 태양대기 물질로 23일 2단계(관심)급 태양흑점 폭발에 동반된 다량의 고에너지 입자가 지구까지 도달해 극지방에 단파통신 장애를 일으킨 바 있다.

이 때문에 단파통신을 이용하는 항공사들이 북극항로를 우회해 운행, 비행시간이 늘어났다.

국립전파연구원은 오전 3시30분경 항공사, 군 등 유관기관에 3단계(주의)급 태양흑점 폭발 현상이 발생했음을 알리고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관련기사

이재형 우주전파센터장은 “태양 우측 가장자리에서 폭발해 지구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이 길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흑점 폭발에 수반된 고에너지 입자나 코로나물질이 언제 어떤 규모로 지구에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고 있으며 결과를 유관기관에 신속히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파연구원은 2013년으로 예측되는 태양활동 극대기가 다가옴에 따라 태양흑점 폭발 현상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국제우주환경서비스기구(ISES) 14개 회원국과 협력해 태양흑점 폭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