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절반이 불량'

일반입력 :2012/01/15 13:52    수정: 2012/01/16 10:15

김희연 기자

여전히 불량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서종렬)은 지난해 9월 1일부터 연말까지 국내 77개사 202종의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대상으로 실태조사 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우선 악성코드 탐지 및 치료의 경우 3천개의 신규 악성코드 샘플 중 2/3(2천개) 이상을 탐지 및 치료한 프로그램은 31.2%로 전년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실시간 감시기능을 갖춘 백신 프로그램도 26.7%로 전년대비 10%가량 증가했다.

반면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은 전체 45%로 20%가량 감소했고 정상파일을 악성코드로 오인한 프로그램도 무려 52%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방통위는 금번 실태조사에서 3천개 악성 코드 중 2/3 이상을 탐지하고 치료하는 제품 63종 중에서 이용약관 고지, 설치 시 동의 확인 등 실태조사 필수항목을 준수하는 12종을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홈페이지에 게시해 이용자들의 선택에 참고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오탐, 성능미달 등의 문제점이 나타난 제품의 제조자에게 조사 결과를 개별 통보해 시정토록 권고하며 유관기관(경찰청, 한국소비자원 등)과도 협력하여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밖에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과 관련된 소비자 피해 민원사례를 바탕으로 제작한 ‘불량 백신 피해 사례집’을 보호나라 홈페이지에 게시해, 유사 피해를 예방하고 이용자들이 피해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작년 9월에 배포한 ‘백신 프로그램 이용 안내서’와 이번에 제작한 ‘불량 백신 피해 사례집’이 이용자의 안전한 백신 이용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현재 국회에서 심의 중인 ‘악성프로그램 확산방지 등에 관한 법률안’이 조속히 제정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