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소포’ 빠르고·안전하게 보내려면

일반입력 :2012/01/08 14:42    수정: 2012/01/08 15:25

“주소·우편번호 정확히 적어야 신속하고 안전하게 배달됩니다.”

우정사업본부(본부장 김명룡)는 9일부터 21일까지 ‘설 우편물 특별소통기간’으로 정하고, 전국 우체국이 비상근무체계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총선과 대선이 있어 특별소통기간에 설 선물소포뿐만 아니라 국회의원 의정보고서 등 다량의 일반우편물도 접수가 예상됨에 따라 전반적인 상황 분석 및 물량 증가에 적극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우정사업본부 측은 “이 기간 소포우편물이 지난해 설 명절 1천125만개 보다 35만개가 늘어난 1천160만개가 접수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장 많은 날에는 평소보다 최고 3배 이상 증가한 하루 평균 150만개가 접수될 것”으로 전망했다.

우정사업본부는 늘어날 우편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특별소통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전국 9개 지방우정청과 총괄우체국, 우편 집중국 등 246개 관서에 ‘설 우편물 특별소통 대책반’을 가동한다.

설 연휴 전 16일부터 19일까지는 전체 물량의 43%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 기간에 3천여 명의 인력을 추가로 배치하고 소포 운송용 파렛 6만 9천대와 하루 평균 3천200대의 차량을 집중 투입하는 등 우편물 소통에 완벽을 기할 방침이다.

특히 우편물류시스템(PostNet)과 전국 우체국의 물류 상황, 운송차량 운행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우편물류 종합상황관제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소통의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설 특별소통기간에 우체국 콜센터의 통화량 폭주에 대비해 상담인력을 20% 증원하고 근무시간을 조정해 평소와 다름없는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우정사업본부는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접수되는 소포우편물의 정시 배달을 위해 설 선물을 보낼 때 다음 사항을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우편물 표면에 수취인의 주소와 우편번호를 정확히 기재하고, 사람이 없을 것에 대비해 연락 가능한 받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기재한다.

관련기사

▲파손·훼손되기 쉬운 소포우편물은 스티로폼이나 에어패드 등을 충분하게 사용해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포장하고 취급주의 표시한다.

▲부패․변질되기 쉬운 어패류, 축산물, 식품류 등은 식용얼음이나 아이스 팩을 넣고,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닐로 포장해 발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