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폰 ‘프라다3’…20만원에 산다

일반입력 :2011/12/21 10:45    수정: 2011/12/22 10:59

김태정 기자

LG전자가 명품 휴대폰으로 내세운 ‘프라다폰3.0’을 89만9천800원에 국내 출시한다. 100만원대 전작(블루투스 액세서리 포함 180만원) 대비 싸게 내놓은 것.

이탈리아 유명 패션업체 프라다와 제휴했지만 100만원이 넘는 초고가로는 현 시장서 경쟁이 어렵다는 판단이 깔렸다.

LG전자는 ‘프라다폰3.0’을 조만간 정식 출시하고 SK텔레콤과 KT로 예약 판매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출고가는 89만9천800원이다. SK텔레콤 기준 요금제와 보조금에 따라 72만9천원~75만9천800원에 구입 가능하다. 여기에 2년 약정 요금할인을 적용하고 월 5만~6만원대 요금제를 선택하면 가격이 20만원대로 떨어진다.

과거 ‘프라다폰’은 명품 이미지를 내세운 초고가 휴대폰이었다. ‘프라다폰2’의 경우 국내 출고가가 179만3천원에 달했다. TV 드라마 등에는 부유층이 쓰는 제품으로 종종 등장했다.

이 같은 명품 마케팅은 지난해 초부터 스마트폰 열풍에 무너졌다. 소비자들이 명품 이미지보다는 스마트폰의 실용적 기능을 선호했고, 아이폰이 오히려 명품 취급을 받았다.

LG전자는 ‘프라다폰2’를 지난 2009년 6월 국내 출시해 1년 간 판매량 2만대 가량을 기록했다. 판매장을 100군데로 한정하고 고가를 책정한 명품 마케팅을 시도했다.

삼성전자도 지난해 10월 ‘조르지오 아르마니폰’을 출시했지만 판매량 1만대를 웃도는 데 그쳤다. 출고가는 135만원.

윤정호 로아그룹 이사는 “명품 이름만 붙여서 스마트폰보다 높은 가격을 받는 전략이 처음부터 말이 안됐다”며 “프라다1의 성공은 스마트폰 바람이 불기 전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프라다폰3.0’은 앞면에 풀터치 화면, 뒷면에는 프라다의 고유 사피아노(Saffiano) 문양을 적용했다. 버튼을 최소화하는 등 프라다의 디자인을 담아냈다는 설명이다.

제품은 흑백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적용해 기존의 컬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와는 다른 느낌을 준다. 4세대 이동통신 ‘롱텀에볼루션(LTE)’는 지원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