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이석채)는 단문메시지(SMS), 멀티메시지(MMS) 등 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 데이터 서비스 이중화 센터’를 대전 탄방동에 신규 구축했다고 2일 밝혔다.
KT는 데이터 센터 이중화로 재난, 재해 등의 돌발적인 상황에도 안정적인 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평상시에는 서울의 주 센터와 대전센터가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다 한 쪽 센터의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쪽 센터가 메세징을 넘겨받아 서비스하게 되기 때문이다.
KT는 재해복구를 위해 여유 장비를 대기해놓는 기존 재해복구 시스템을 벗어나 두 개의 센터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문제를 보완하는 이중화 시스템을 도입, 보다 빈틈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새롭게 구축된 대전센터는 주센터 대비 SMS는 30%, MMS는 20% 향상된 처리 용량을 보유했다. 평상시뿐만 아니라 명절, 연말연시 등 일시에 메시징 사용이 급증할 경우도 소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여유 시스템 인프라를 갖췄다.
관련기사
- IDC, 탄소절감 비상…'녹색 변신' 노린다2010.09.02
- SK브로드밴드, IDC 스마트 컴퓨팅 사업 ‘쾌청’2010.09.02
- 5천억 짜리 과제, 전화로 5분 평가..."이제 그만, 새 틀 짜자"2025.05.27
- 스마트폰 美 25% 관세 리스크…삼성 언팩 앞두고 '고심'2025.05.27
KT는 대전센터에 그린 IT 개념을 적용해,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했다. 설계단계부터 3D 열분석을 통한 장비의 공간배치를 최적화해 냉각효율을 향상시켰고, 전력사용량과 탄소배출량을 기존 센터 대비 20% 이상 줄였다.
한원식 KT 개인고객부문 무선데이터사업본부장은 “데이터 센터 이중화로 더욱 안정적인 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며 “향후 스마트폰 증가에 따라 증대될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도록 시스템 효율성과 안정성을 지속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