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스마트폰 보조금 ‘줄고’ 초고속 경품 ‘늘까?’

일반입력 :2010/08/02 15:39

하반기 이통사의 휴대폰 보조금은 줄어들고, 초고속인터넷의 현금마케팅 경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일 올 상반기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주요 통신사의 매출 대비 무선 마케팅비는 26.3%, 유선 마케팅비는 10.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5월 방통위는 ‘통신사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통신사들이 올 한 해 마케팅비를 매출 대비 22%(내년부터 20%) 이하로 집행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통신사들이 소모적 마케팅비를 줄이고 투자 활성화에 나서달라는 주문이었다.

하지만 무선 마케팅비는 이를 초과한 26.3%를 기록해, 하반기에는 휴대폰의 보조금이 특정 단말에 집중되거나 줄어드는 마케팅 전략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유선부문 마케팅비는 10.3%에 불과해 인터넷전화나 IPTV, 이동전화 등과 묶어 상대 가입자를 뺏어오는 경품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휴대폰 보조금, 쏠림현상 vs. 축소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올 상반기 총 11조8천547억원의 매출 중 3조1천168억원을 마케팅비로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방통위가 권고한 22%의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을 4.3%를 초과한 것으로 이통3사가 약 5천100억원을 마케팅비에 더 쓴 것이다. 이통3사의 총 마케팅비와 비교해서는 약 16%에 달하는 금액이다.

결국, 이통3사가 방통위의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에 맞추기 위해서는 올 상반기 집행한 마케팅비보다 16% 적은 약 5천100억원을 절감해야 한다는 얘기다.

SK텔레콤이 하반기 스마트폰 10종, KT가 12종 출시를 예고한 상태에서 이통사들이 마케팅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절대 보조금 액수를 낮추거나 특정 단말에 집중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KT의 경우 아이폰4 출시를 앞두고 있어 마케팅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가 업계의 초미의 관심사다. 또 반대로 경쟁사들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마케팅비를 어떻게 맞춰가느냐도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방통위 관계자는 “단순히 마케팅비가 22%를 초과했다는 것만으로 직접 재제를 하는 것은 아니다”며 “시장과 경쟁상황을 고려해 과당경쟁으로 인정할 만한 위반사항이 발생하면 제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통위, 초고속인터넷 현금 마케팅 제재할까

이날 방통위는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의 유선사업자들이 올 상반기 동안 집행한 마케팅비가 총 매출 6조7천647억원의 10.3% 수준인 6천973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방통위가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22%의 절반 수준으로, 유선사업자들은 총 지출할 수 있는 마케팅비 가이드라인에서 7천900억원의 여유를 보였다.

이에 따라, 최근 KT와 LG유플러스 간 불법 마케팅 신고 등 마케팅비 과다 경품제공에 대한 제재를 앞둔 방통위의 명분이 무의미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방통위가 제시한 과다 마케팅비 지출 가이드라인의 절반 수준을 지출한 사업자들에게, 과다 경품제공으로 제재하는 것이 모순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도 유선부문에서는 초고속인터넷을 중심으로 인터넷전화, IPTV, 이동전화 등을 묶은 결합상품 가입 시 제공하는 현금마케팅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사업자들은 7월 하순까지도 지역에 따라 초고속인터넷과 인터넷전화를 묶은 DPS(더블플레이서비스) 가입자에게 최소 25만원에서 최대 40만원에 이르는 경품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