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TV의 등장에 세계 유료방송업계가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무료 영상콘텐츠의 확산, 앱스토어 등장으로 인한 실시간 방송비중 약화 등으로 가입자 이탈이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국내 케이블TV업계도 나름의 전략을 고민하며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전업계가 스마트TV에 대한 대응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하지만 무조건 적으로만 보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TV에 대한 위기의식과 별도로 시너지를 내기 위한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오히려 TV와 인터넷의 연결이란 특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고민중이다. TV 제조사가 콘텐츠 생산능력면에서 약점을 가진 만큼 그 빈 공간을 노린다는 전략이다.
■“콘텐츠 장벽 무너진다” 긴장감 고조
스마트TV는 TV에 인터넷을 연결하고 인터넷 콘텐츠를 TV로 이용하게 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구글 등이 시장 선점에 열을 올리는 상황이다. 애플리케이션과 검색 서비스가 무기다.
스마트TV이 제공하는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무료다. 유튜브나 넷플릭스, 훌루 등에서 제공하는 고품질 방송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면 유료방송의 매력은 떨어진다.
유료방송이 가입자 감소에 이은 전반적인 수익감소를 겪을 것이란 지적이 설득력을 갖는 이유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인 CJ헬로비전(대표 변동식)의 최병환 전략기획실장은 “프리미엄 콘텐츠에 있어서 유료모델을 구축해 놓은 유료방송업계의 긴장감은 말할 수 없이 크다”고 전했다.
스마트TV의 보급량이 늘어날수록 실시간 방송의 인기는 낮아진다. 때문에 광고시장의 자금이 인터넷으로 대거 이동하는 현상도 예상된다.
■개방성 역이용 ‘올라타기’도 고민중
최병환 실장은 “스마트TV가 빠르게 확산하지는 못할 것”이라면서도 “개념 자체가 개방을 표방하는 만큼 방향성은 옳다”고 밝혔다.
최 실장은 여기서 개방성에 방점을 찍었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만큼 사업자들에게도 이용 가치는 높다는 것.
인터넷에 TV를 연결하고 앱스토어를 구축한다면 역으로 방송사의 '올라타기' 전술도 가능해진다. CJ헬로비전의 TV에브리웨어 서비스인 ‘티빙’을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거나 인터넷TV로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
하드웨어에만 특화된 제조사의 약점을 방송사가 메울 수 있다는 전망은 여기서 나온다. 다만 그 이용 정도와 비즈니스 모델구축에 있어서는 시간을 두고 더 고민이 필요하다.
최 실장은 “TV는 성능과 함께 서비스 품질 관리, 지속적인 콘텐츠 확보 등이 중요하다”라며 “이런 부분에서 경험이 부족한 제조사가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제조사가 OTT서비스를 위해 방송사의 협력을 요청해온다”라며 “하이브리드 셋톱박스나 케이블레디TV 같은 제품은 제조사와 방송사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청자 바꾸긴 일러” 틈새를 노린다
스마트TV의 목표는 수동적이었던 시청자들을 능동적인 소비자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방송업계는 아무도 성공하지 못한 ‘시청자 움직이기’를 스마트TV가 성공할 지 주목한다. 만약 스마트TV가 성공하면 답보상태인 양방향 방송서비스의 부흥이라는 선물이 주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TV의 현수준은 시청자를 바꾸기에는 초보적인 수준이다.
최 실장은 “스마트TV가 성공하려면 고품질 콘텐츠를 확보해야 하고, 사용자경험(UX)가 더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케이블TV, SNS와 결합해 구글TV 넘어라"2010.07.07
- 최시중 "케이블TV 능동적으로 변해야 생존"2010.07.07
- 윤부근 사장 “지역 콘텐츠 없이 구글TV 힘들어”2010.07.07
- "파트너냐 적이냐"…방송사업자가 본 '구글TV'2010.07.07
방송콘텐츠사업자와의 협력이 필요하고, 서비스환경에 맞는 UX를 만들기 위한 플랫폼 사업자와의 경험공유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아직 한국 시청자들이 스마트TV를 수용할 준비가 안 됐다”라며 “이 시간적 틈을 이용해 디지털케이블의 UX를 강화하고 매출까지 연결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