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재도전, 최소 1년에서 2~3년까지

한국형 발사체 개발 필요성 고조

일반입력 :2010/06/11 09:34    수정: 2010/06/11 13:29

이재구 기자

나로호 2차 발사가 실패로 끝나면서 원인규명, 책임소재 및 향후 3차 발사가 가능 시점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소한 1년, 길어지면 2~3년후를 기대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누가 비용을 부담하느냐 여부를 떠나 추가 로켓발사체 제작비만 2천억원에 이른다.

10일 나로호 발사가 실패로 끝난 후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3차 발사를 공언, 나로호의 추후 발사계획은 분명해 보이면서, 이제 문제는 언제, 어떻게 3차발사가 이뤄질지로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3차 나로호 발사 도전을 둘러싼 상황은 이제까지와 많이 달라져 있다.

무엇보다도 2차발사실패 원인 규명을 위한 잔해수거작업 등이 이뤄져야 하고 이에따른 한-러 협상이 원만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전제가 숨어있다. 이것이 무난하게 이뤄진다는 전제하에 3차발사를 진행할 경우 서두를 경우 적어도 1년, 길어지면 2~3년은 기다려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번 2차 발사 실패는 한국형 발사체(KSLV-II·1단로켓)개발을 더욱 서둘러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추력 30톤급 로켓을 개발해 놓고 있지만 이를 가지고는 위성을 쏘아올릴 수 없다.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75톤급 추력을 가진 로켓 개발을 진행중이며 이 엔진 4개를 붙여 300톤급 발사체를 만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나로호 개발에는 1, 2차 개발과정을 포함, 총 5025억원이 들었다. 과학기술위성은 136억원짜리다.

■3차발사를 위한 선결 과제들

우선 2차발사 실패에 대한 원인규명과 책임소재를 밝히는게 가장 중요한데 이것이 밝혀지기까지 긴 시간이 걸릴 수 있어 3차발사에 숨은 변수가 될 수 있다.

이것이 원만하게 밝혀지더라도 1년 후인 내년 이 시점에 나로호 3차 도전을 하려면 한-러 양국관계자들 간에 원만한 협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이런 원인규명과 협상과정을 거쳐 무난한 추가발사 합의가 있은 연후에야 비로소 러시아의 1단로켓이 이뤄져 나로호 3차발사 시도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3차 로켓발사체 모델이 러시아식이 될지, 1,2차 때처럼 한국측의 주문에 의한 방식으로 만들지 여부도 발사실패 원인파악과 추후 협상과정에서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나로호 3차 발사를 위해선 러시아와 우리측이 각각 1차,2차 로켓을 제작해야 한다. 게다가 우리측은 예비위성을 갖춰놓았던 2차 발사 때와 달리 새로이 과학기술위성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다.

■러시아가 추가보상 요구시 난항도 예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과 러시아는 나로호가 1, 2차 발사에 모두 실패할 경우 3차 발사를 하기로 계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러시아가 나로호 실패의 책임이 한국에 있다고 주장할 경우 상황은 복잡해진다.

우리 측은 이번 나로호 2차발사 실패와 관련, 러시아가 만든 1단 로켓의 폭발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일단 1차 발사 때보다는 러시아의 책임에 훨씬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러시아 연방우주청은 지난해 8월 1차 발사 때 페어링(위성보호덮개) 분리 실패로 위성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자 “러시아는 성공, 한국으로서는 부분적 성공”이라고 공식 의견을 밝혔다.

교과부는 1단 로켓이 발사 후 229초에 정지되는데 그 이전인 137.19초에 1단 로켓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통신 두절과 폭발 섬광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잠정적으로 1차 발사 때의 페어링 분리 실패보다는 러시아의 책임이 훨씬 크다고 보고 있는 이유다.

항우연 관계자는 “러시아의 임무는 1단 로켓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것’이라고 규정돼 있다”며 “원인이 무엇이든 위성을 올리는 데 실패했으므로 3차 발사를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러시아가 추가 보상을 요구하거나 3차 발사가 계약사항이 아니라고 버틸 경우 어려움이 예상된다.

■3차발사 최소 1년- 2~3년 더 걸릴 수도

러시아와 다시 1단 로켓 도입을 합의하더라도 또 다른 문제가 남는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나로호 발사를 위해 만든 2대의 과학기술위성 2호를 만들었지만 2번의 발사 실패로 이를 모두 잃었다.

위성 1개 제작에는 최소 1년의 시간과 함께 136억 원의 제작비용이 든다.

김태권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실장은 “이미 2번이나 제작한 경험이 있긴 하지만 몇 개월 안에 만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엔진 문제가 경미할 경우 연내 러시아에서 다시 새 로켓을 들여오는 게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위성 제작 문제 등으로 최소한 1년 가까이 걸릴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특히 엔진 문제가 클 경우 구조 개선과 성능 시험 등에 시간이 오래 걸려 3차 발사에 2∼3년이 걸릴 수 있다.

항우연은 나로호 프로젝트 외에도 2002년 이후 중단했던 30t급 엔진 개발을 2008년 재개한 데 이어 현재는 75t급 엔진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정부는 2018년까지 1.5t급 실용 인공위성을 실어 올릴 로켓 발사 능력을 확보하고, 2020년에는 달에 탐사선을 보낸다는 우주개발 계획을 마련해 놓고 있다.

■발사실패에 따른 손실규모는 최소 5천억원

10일 기대를 모았던 나로호 2차 발사도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발사 일정·비용상의 손해는 얼마나 될까?

2002년 시작된 나로호 개발에는 1차 발사시점인 지난해까지 7년여에 걸쳐 5천억원이 들었다.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건설비까지 합치면 총 8000억원 넘는다.

전문가들은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추가발사가 이뤄질 경우 발사체에만 회당 2천여억원의 비용이 더 소모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항우연은 지난 2004년 러시아 흐루니체프사와 2억달러(2천500억원)를 지불하고 체결한 계약에 따라 러시아는 최대 3회까지 하단 로켓을 제작해 공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발사 실패의 원인이 러시아가 제공한 하단 로켓에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 3차 로켓 제공을 거부할 가능성도 있다.

조사 작업에서 시비를 가리게 되면 한국이 불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06년 한국과 러시아가 맺은 우주기술보호협정(TSA)에 따르면 러시아로부터 발사체 기술 이전은 없으며, 사고가 나더라도 한국은 조사 작업에 일절 관여할 수 없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