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 표준, 와이브로·LTE '공동 채택'

일반입력 :2009/10/22 14:24    수정: 2009/10/22 14:28

김효정 기자

차세대 4G 이동통신 기술표준으로 와이브로와 LTE가 공동 채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4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드레스덴에서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화 작업반(WP5D) 제6차 회의에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IEEE802.16m'과 'LTE Release10 & Beyond (LTE-Advanced)'를 후보 기술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IEEE802.16m'는 와이브로의 진화 기술이고, 'LTE Release10 & Beyond'는  LTE의 진화 기술이다.

이번 회의에서 IEEE802.16m은 미국표준개발전문기구인 IEEE를 중심으로 한국, 미국, 일본 등의 51개 업체 지지를 받아 제안되었으며, 'LTE-Advanced'는 3GPP에 참여하고 있는 39개 업체와 TTA를 포함한 6개 표준화 단체의 공동명의로 제안되었다. 3GPP는 3G 이동통신규격인 WCDMA, HSDPA 등의 규격을 제정한 바 있으며 현재 LTE-Advanced 표준을 개발 중인 단체이다.  

■'와이브로·LTE' 2011년 공동 국제표준 채택 예상 

관련기사

ITU의 차세대 4G 이동통신 기술표준화 작업이 와이브로와 LTE의 진화기술을 후보기술로 제안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ITU는 제안된 두 후보기술에 대한 평가를 거쳐 2011년 2월 표준안을 마련한 후 같은해 말에 ITU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할 계획이며, 두 기술 모두 국제표준으로 채택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통위 "그동안 국내개발 기술인 와이브로와 세계 4G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LTE 모두에 대한 기술개발과 국제표준 채택을 위해 지원해 왔다"라며 "이번 후보기술 제안을 통해 국내개발 특허기술의 국제표준 반영 및 ITU 표준 제정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3GPP, IEEE 및 ITU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