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게시물의 자유와 책임 문제를 다룰 민간자율조직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가 3일 출범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야후코리아, SK커뮤니케이션즈, NHN, KTH, 프리첼, 하나로드림 등 7개 포털사로 구성된 KISO는 공동 게시물 정책을 비롯한 인터넷 자율 정화에 나선다.
KISO는 주형철 SK커뮤니케이션즈 대표를 이사회 의장으로 하는 등 회원사 대표들로 이사회를 구성했다. 상시 가동될 정책위원회의 위원장으로는 김창희 전 동아일보 국제부장(전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을 선임했다.
관련기사
- 포털 7사, 유해게시물 자율규제 나서2009.03.03
- 「인터넷 자율규제」에 우리는 얼마나 당당할 수 있을까?2009.03.03
- 삼성, 미전실 해체후 8년만 사업지원실 출범…'재무통' 박학규 진두지휘2025.11.07
- "11초에 얼마나 담을 수 있을까"…알리익스프레스 팝업 가보니2025.11.07
KISO는 네티즌들이 인터넷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누리는 동시에 그에 따른 책임을 인식하고 실천해나갈 수 있는 환경 조성을 기본목표로 정했다, 인터넷을 통해 네티즌들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는 동시에 공공선을 구현하는 방안도 모색하게 된다.
각 포털 회원사는 지금까지 해 오던 대로 각자의 기준에 따라 게시물들을 처리하되 인터넷 게시물로 인해 사회적 현안이 발생하는 등 공동대응의 필요성을 느낄 경우 KISO 정책위원회에 해당 사안을 상정해 처리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