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A의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활용 강좌. 오늘은 기본으로 돌아가 PDA 구입 후에해야하는 5가지 작업에 대해서 설명해본다.
PDA는 기본적으로 PC 없이는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들어졌다. PC의 보조기기로서 제작되었기에 PC와 연결해 각종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DA를 처음 구입한 사용자라면 이러한 PDA만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당황할 수 있다.
첫번째, 충전

PDA를 구입하고 가장 먼저 충전부터 해야 한다. 공장에서 제조되어 출고될 때 배터리는 자연 방전이 되기에 구입후에 최소 12시간 정도 만충전을 해주시는 것이 좋다. 이는 배터리의 정상적인 용량을 사용하기 위한 조치로 이 과정을 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급속하게 떨어질 수도 있다. PDA를 꺼내자마자 충전을 시키면서 PDA는 켜지말고 PC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메뉴얼을 한번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한다.
두번째, PDA 초기 셋팅

PDA는 PC가 아니다. 때문에, 초기 셋팅 과정이라는 것이 필요하다. 구입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PDA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초기 셋팅 과정을 통해서 스타일러스펜의 좌표를 인식하는 좌표인식과 날자, 지역 설정을 하면 두번째 단계가 완료된다.
세번째, PC용 소프트웨어 설치

PDA는 PC의 보조기기이기에 PC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 PC에 PDA와 연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포켓PC나 윈도우CE는 아웃룩과 액티브씽크를, 팜은 팜 데스크탑을 설치하면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반드시 구입할 때 같이 제공된 메뉴얼을 보시면서 PC용 소프트웨어를 모두 설치하자.
네번째, 데이터 전송

이미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PC용 소프트웨어 설치후 PDA와 연결을 하면서 자동으로 전송이 된다. 하지만, 일부 플랫폼의 경우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경우도 있기에, 이 경우에도 메뉴얼을 읽고 차례대로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다섯번째, 추가 프로그램 설치
PC의 PIMS데이터를 PDA에 전송하였다면, 이제 추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한다. PDA는 추가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기에, PDA의 활용도를 더욱 증가시켜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추가 프로그램의 설치까지만 한다면 이미 당신은 PDA를 충분히 사용할 줄 아는 사용자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