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국회가 ‘기업인 국감 출석 최소화’ 방침을 공유하면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정감사에서 주요 기업 총수와 CEO들이 잇달아 증인 명단에서 빠지고 있다. 불필요한 기업인 소환으로 인한 경영 부담을 줄이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최근 각 상임위원회에서 기업인 증인 채택을 잇따라 철회했다. 국토교통위원회는 전날 허윤홍 GS건설 대표, 최주선 삼성SDI 대표,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에 대한 증인 채택을 철회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역시 윌슨 화이트 구글 아시아태평양 대외정책총괄 부사장과 장 루이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대표를 증인 명단에서 제외했다.
또한 행정안전위원회에서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 등이 증인 명단에서 빠졌다. 이외에도 정무위원회에서는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증인에서 제외됐다.

이번 기업인 국감 불출석 최소화 기조에는 정부가 제시한 ‘경제활력 제고와 기업활동 위축 방지’라는 방향성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여야 모두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 기업의 경영 정상화와 투자 촉진을 고려해 불필요한 국감 출석 요구를 최소화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 구글코리아, 국감서 "이스라엘도 고정밀지도 승인"...거짓이었다2025.10.14
- MBK 홈플러스 먹튀 논란…"죄송"·"내 소관 아냐" 국감 메아리2025.10.14
- 국감 도마에 오른 中 'K콘텐츠' 표절..."외교-법적 대응 나서야"2025.10.14
- 교촌, 치킨 중량 줄이고 고기부위 바꿔치다 국감서 뭇매2025.10.14
앞서 정부와 여당은 국감 재계 증인 최소화 기조를 내세운 바 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 대표는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재계의 증인, 특히 오너와 대표들 부르는 것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재계 한 관계자는 “국감이 기업 경영을 압박하거나 여론전을 위한 장으로 변질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정책 점검 중심의 국감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