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교직원이 지난 3년 간법인카드로 1000회에 걸쳐 누적 110억원대 규모의 '상품권깡'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7일 KAIST 및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근무해온 A씨는 2022년부터 최근까지 KAIST 법인카드로 약 9억원을 횡령한 것으로 드러나 KAIST가 해당 직원 출국금지 의뢰와 함께 내부 감사에 착수했다.
이 같은 사실은 KAIST가 또다른 직원의 법인카드 사용 남발을 전수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 KAIST 측은 대학 전체로 감사를 확대 중이다.

KAIST 관계자는 "조사 중이라 결과가 나와봐야 정확한 규모 등이 파악될 것으로 본다"며 "3년간 1000회면 매일 100만원이 넘는 상품권 구입이 이루어졌을 것인데, 이를 시스템이 걸러내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KAIST는 지난해에도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다.
기술가치창출원 직원이 2억원을 횡령, 경찰 수사가 진행됐고, 직원이 최종 변제하는 것으로 사건이 종료됐다. 당시 직원은 초범이라는 이유로 경찰 기소까지 가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이광형 KAIST 총장, AI학과 설립 공론화…"향방 귀추 주목"2025.07.07
- KAIST, 전북도·전북대·성균관대와 과기정통부 피지컬AI 시범사업 수주2025.08.28
- KAIST-하이퍼엑셀, NPU 신기술 공개…"챗GPT 추론성능 60% 개선"2025.07.04
- KAIST "디지털 해킹 피해 대응 젠더따라 차이"2025.06.08
또다른 연구처 직원은 연구비 카드 포인트를 1400만원 규모의 상품권으로 바꿔 착복, 환수하는 선에서 정리됐다.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KAIST 1년 예산 규모가 1조 2000억원에 달하다보니, 어디서 어떤 사건이 터져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모럴 해저드와 레임덕이 겹쳐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기술개발이라도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