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보던 미래형 홀로그램 기술이 현실로 다가왔다.
과학 전문 매체 라이브사이언스는 10일(현지시간),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고 조작할 수 있는 3D 홀로그램 기술이 개발됐다고 보도했다.
이 기술은 스페인 나비라 공립대학의 컴퓨터과학 교수 아시에르 마르조(Asier Marzo)가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연구진은 탄성 소재를 활용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홀로그램을 만지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체적형 디스플레이(volumetric display)를 구현했다. 연구 결과는 프랑스의 사전출판 논문 저장소 ‘HAL’에 게재됐다.
.

보도에 따르면, 연구진들은 체적형 디스플레이(volumetric display)에 탄성 소재를 사용해 3차원 홀로그램을 손으로 잡고 찌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 기술은 홀로그램 시스템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3D 그래픽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으로 가상 큐브를 잡고 돌리는 등이 가능하다.
해당 기술은 아직 동료 평가를 거치지 않은 상태이며, 논문과 함께 기술 시연 영상도 공개됐다. 마르조 교수는 “우리는 스마트폰 화면을 누르거나 문서를 드래그하는 등 직접적인 조작에 익숙하다”며 “이번 프로젝트는 3D 그래픽과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통해 입체 시각과 조작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오는 26일부터 5월 1일까지 일본에서 열리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국제 학술대회 ‘CHI 컨퍼런스’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체적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 디퓨저(optical diffuser, 간유리, 유리의 표면을 갈아 뒤쪽이 흐릿하게 보이는 불투명한 유리)는 딱딱하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연구진은 탄성 디퓨저를 사용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내부에 손을 뻗어 3D 콘텐츠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게 했다.
관련기사
- 아이폰 화면으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만들었다2024.04.15
- "차량용 HUD, 홀로그램으로 손쉽게 변환…기술이전 협의중"2025.01.21
- 총선에도 챗GPT·홀로그램 활용 '화제'2024.02.06
- 런던 하늘에 '갤럭시 AI'가...삼성, '언팩 티저' 홀로그램 쇼 진행2025.01.17
해당 기술은 사람의 손으로 공중에서 3D 그래픽을 조작할 수 있는 최초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아직은 실험 단계이지만,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
연구진은 "화면이나 모바일 기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업무, 학습, 오락을 위해 우리 삶에 존재한다. 직접 조작할 수 있는 3차원 그래픽은 교육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