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지난해 영업이익 전년比 87% 급감

매출 26.9兆에 영업익 2.7兆 "수요 둔화 가격 하락"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0/01/31 09:14    수정: 2020/01/31 16:14

SK하이닉스는 2019년 연간으로 26조9천907억원의 매출과 2조7천127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3.3%, 87% 줄어든 결과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었고, 고객들의 재고 증가와 보수적인 구매 정책으로 수요 둔화와 가격 하락이 이어져 경영실적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밝혔다.

2019년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조9천271억 원, 2천36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3%, 94.7% 줄어든 수치다.

제품별로는 D램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8% 증가했고, 평균판매가격은 7% 하락했으며, 낸드플래시는 출하량이 10% 증가했고, 평균판매가격은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SK하이닉스 (사진=뉴스원)

SK하이닉스는 올해 D램 시장에 대해 서버 D램의 수요 회복, 5G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판매량 증가로 전형적인 상저하고의 수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낸드플래시 시장 역시 PC 및 데이터센터향 SSD 수요가 증가하는 한편 고용량화 추세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는 이처럼 최근 개선되고 있는 수요 흐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과거에 비해 훨씬 높아진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상존함에 따라 보다 신중한 생산 및 투자 전략을 운영할 방침이다. 공정전환 과정에서도 기술 성숙도를 빠르게 향상시키는 한편 차세대 제품의 차질 없는 준비로 원가 절감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자료=SK하이닉스)

D램은 10나노급 2세대 제품(1y나노) 비중을 확대하고, 본격적으로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LPDDR5 제품 등의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또한 차세대 제품인 10나노급 3세대 제품(1z나노)도 연내 본격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낸드 플래시는 96단 제품 및 SSD향 매출 비중을 지속 늘려나갈 계획이다. 128단 제품 역시 연내에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하고 고용량 솔루션 시장으로의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새로운 배당 정책도 발표했다. 주주환원 규모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면서 메모리 산업의 싸이클에 따른 실적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SK하이닉스는 주당 배당금 1천원을 최소 금액으로 고정하고 여기에 연간 창출되는 잉여현금흐름의 5%를 추가로 지급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