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유튜브’를 지향하고 있는 'K콘텐츠뱅크'의 콘텐츠 판매실적이 현재까지 단 4건, 2만6700달러(약 3천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윤종오(무소속) 의원이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콘텐츠뱅크 사업이 본격 시작된 올해 초부터 현재까지 K콘텐츠뱅크를 통해 단 4건(5개 프로그램)의 계약을 체결돼 태국과 몽골로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 방송수출액 4억 2천만달러의 0.006%에 불과한 규모다.
K콘텐츠뱅크는 미래부 주도로 만든 방송콘텐츠 온라인 기업 간(B2B) 유통 시스템이다. 국내 중소 방송사업자, 제작사, 1인 창작자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윤종오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약 16억원의 예산이 K콘텐츠뱅크에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윤종오 의원은 저조한 실적의 원인을 "K콘텐츠 뱅크에 볼만한 콘텐츠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콘텐츠 한류' 유통플랫폼 'K콘텐츠뱅크' 오픈2016.09.29
- 가상자산, 미국은 변하는 데 한국은 왜 안 바뀌나2024.11.25
- 폐지 앞둔 단통법, 효과는 물음표2024.11.25
- '소버린 AI' 어떻게 봐야 할까…"담론 기반 현실적 전략 필요"2024.11.25
MBC와 KBS는 K콘텐츠뱅크에 콘텐츠를 단 하나도 등록하지 않았고 tvN이나 JTBC같이 인기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그램 공급자(PP)는 K콘텐츠뱅크에 계정조차 없다는 설명이다.
윤종오 의원은 “미래부가 볼만한 콘텐츠도 제대로 확보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K콘텐츠뱅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사업활성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