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영화·연극 콘텐츠에 '디지털식별 체계' 도입

KISTI, DOI 등록기관으로 승인

과학입력 :2016/01/05 10:10    수정: 2016/01/05 11: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이 국내 최초로 모든 객체에 국제 표준 디지털 식별자((Digital Object Identifier :DOI)를 부여할 수 있게 되었다.

KISTI는 1일부로 국제 DOI 재단으로부터 국내 최초 ‘DOI 등록관리기관’ 승인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DOI는 콘텐츠에 개별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 식별체계이다. 문헌, 연극, 영화 등 모든 유무형의 콘텐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안의 표나 이미지 같은 세부 콘텐트에 대해서도 부여할 수 있다.

KISTI에 따르면 현재 DOI 이름이 부여된 콘텐츠는 1억 2천만 건 이상이며 매년 16% 씩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약 1억 건에 달하는 학술정보에 DOI 이름이 부여돼 출판, 인용 및 이용에 DOI 체계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전까지 국내에 DOI 등록관리기관의 부재로 일부의 콘텐트에 대해서만 DOI 이름을 부여할 수 있지만, KISTI가 DOI 등록관리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아직까지 DOI를 부여받지 못 해 국내외로 유통할 수 없었던 과거 국내 학술정보, 국내 특허, 국내 기관의 공공 데이터 등이 국제 유통 플랫폼을 통해 한국 고유의 데이터로 유통이 가능해졌다. 더불어 전 세계 DOI 등록관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문 위치 정보를 포함한 과학기술 R&D 최신 정보를 국내 이용자들이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관련기사

KISTI는 DOI 등록관리기관 역할 기구인 ‘코리아 DOI 센터’를 운영, 과학기술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학술단체, 출판사 등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학술논문을 비롯한 특허, 연구보고서, 연구노트 등의 문서정보와 공공데이터, 과학기술 사실정보에 대해서도 DOI 유통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류범종 KISTI 첨단융합본부장은 “다양한 식별체계가 적용된 각양각색의 과학기술 데이터들에 대해 DOI라는 국제 표준 식별 체계를 반영할 수 있어, 국내외 정보 유통 비용 절감은 물론 원활한 과학기술 정보 교류를 기대할 수 있다”며 “접근이 용이해져 해외의 국내 과학기술정보 활용도 높아지는 동시에 국내 연구자들 역시 전 세계의 주요 과학기술 데이터 활용도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