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장비 성능이 제조 AX 경쟁력의 핵심"

한국기계연구원 분석결과…"AI 경쟁 뒤 본질적 성능놓고 치열하게 다툴 것"

과학입력 :2025/11/27 14:20

제조 AX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는 ‘기계 장비의 본질적 성능’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27일 제조업의 AI 전환과 주요국 정책·산업 구조를 종합 분석한 결과 제조 성능을 실제로 구현하는 ‘기계 장비의 본질적 성능’이 제조AI의 핵심 경쟁 요소라고 기계기술정책 보고서를 통해 언급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AI 경쟁이 제조 혁신을 견인하고 있지만 추후 AI와 기계 기술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하는 ‘융합형 제조혁신’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계장비가 제조AI 핵심 요소라는 진단이 나왔다. 사진은 기계성능이 AI 성능 향상의 핵심임을 나타내는 그림이다.(그림=기계연구원)

AI 제조 전환은 세계적 패러다임이다. 해외 시장보고서(MarketsandMarkets, 2025.8.)에 따르면 제조 AI 시장은 2025년 342억 달러, 2030년 1,550억 달러로 연평균증가율 35.3%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해외 기업들도 생산 자동화, 공정 지능화를 중심으로 기술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의 GE,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은 AI·클라우드·로봇을 통합한 자율제조 생태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유럽 지멘스나 ABB, 보쉬 등은 ‘AI 팩토리’ 전략과 인간-로봇 협업에 초점을 두고 제조AX를 추진한다.

또 일본 히타치나 옴론, 파눅은 (Fanuc, Omron, Hitachi 등은 로봇 중심의 지능형 생산라인 혁신을 추진 중이다. 중국 화웨이, 며 중국의 Huawei, Siasun, Foxconn 등은 정부의 ‘AI+제조’ 전략과 대규모 공장 자동화, 기술 내재화가 주요 전략이다.

우리나라는  AI를 전면 적용하여 제조 공정의 자동화·지능화를 가속하는 ‘AI 팩토리’ 정책을 추진 중이다. 삼성전자, 두산로보틱스, 한화로보틱스 등을 중심으로 AI·로봇·디지털트윈 융합형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는 한국기계연구원이 기계산업의 AX 대전환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계데이터플랫폼, 가상공학플랫폼 등 AI/DX 3축 체계 구축에 매진하고 있다.

그러나 AI만으로는 제조 경쟁력 확보가 어렵고 결국 AI의 능력이 현실화하는 것은 기계·장비이며 하드웨어인 기계의 본질적 성능과 소프트웨어인 AI의 최적화 성능이 상호작용한 곱셈적 결과가 최종적인 경쟁력을 결정한다는 것이 이 보고서 핵심이다.

우리나라 제조업은 반도체·자동차·이차전지 등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고 있지만 핵심장비나 핵심부품은 해외의존도가 높아 공급망 리스크가 크다. 미래 제조업도 기계 기술의 자립 없이 AI 기술만으로는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가 어렵다.

관련기사

현재의 AI 경쟁이 성숙단계로 진입할수록 기계의 본질적 성능 경쟁이 점차 부각될 것이며 이에 대비해 기계와 AI가 함께 진화하는 융합기술 기반을 조성하는 R&D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제조 AI 세계 시장 규모.(억 달러, 출처=마켓샌드마켓)

기계연 기계정책센터 이운규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AI 중심으로 제조업 경쟁이 치열하나 향후에는 기계 기술로 경쟁 구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AI 고도화와 함께 기계 기술 내재화를 위한 정책적 준비를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