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치는 태양광 전력, 송전망 증설 없이 'AI+ESS'로 해결

정부, '초혁신경제 선도 프로젝트' 차세대 전력망 구축 추진

디지털경제입력 :2025/11/26 10:25

송전망 부족으로 태양광 발전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인공지능(AI) 기반 분산 전력망 관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인프라를 활용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26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성장전략 TF를 개최하고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세 번째 추진계획 중 하나로 '차세대 전력망'을 발표했다.

AI 기반 대규모 ESS 구축과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추진으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는 것이 취지다. 송전망 신설은 주민 수용성 등 이유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단기 해결책으로 이같은 방안이 모색됐다. 

정부는 태양광이 주로 접속해 있는 배전망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약 85개 선로에 ESS를 약 340MW 규모로 구축한다.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를 위해 5시간 저장 가능한 용량으로 보급한다. 여기에 가상발전소(VPP) 등을 활용, AI 기술을 접목해 운영을 최적화할 방침이다. 

태양광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전력계통 추가 건설 없이 남는 전력을 ESS로 저장하고, 이후 수요에 따라 활용해 재생에너지의 전력계통 최대 접속을 유도한다는 취지다. 정부는 이에 따라 현재 호남 지역에서 발생하는 접속 지연 물량 2.5GW 중 19.4% 가량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다.

내년부터 5년간의 총 사업비는 9천996억원으로, 절반을 국비로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 예산안에선 20개 배전선로를 선정하고, 각 선로당 4MW 총 80MW 규모 ESS 설치비를 지원하는 데 국비 1천176원을 투입한다. 2027년 이후 65개 배전선로를 선정하고 추가 260MW 설치를 지원한다. 

마이크로그리드는 기존 전력망과 독립된 분산전원 중심 국소적 전력공급시스템이다. 정부는 공산단, 대학 캠퍼스, 군부대, 공항 등에 맞는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을 추진한다. AI 기반 태양광과 ESS 등을 분산자원으로 활용하고, 입지별 전력 수급 최적화를 위한 수요 관리를 의무화한다. 내년부터 2년간 총 사업비는 866억4천만원으로, 국비는 735억4천만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사업 확대도 검토한다.

생산지에서 전력을 모두 소비하는 '지산지소' 실현을 위해 분산특구 지정 및 인센티브 제공도 추진된다. 내년부터 5년간 총 사업비 1천400억원 중 국비 7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정부는 기후에너지부 2차관 주재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을 구성하고 ▲사업집행 기획 및 추진상황 공유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한 규제 철폐 ▲기업 애로사항 해결 창구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