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프트웨어(SW) 산업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규모화·고도화 흐름이 한층 뚜렷해지고 있다. 올해 매출 1조원 이상 기업 수는 사상 처음 23개사까지 확대됐고 전체 SW 산업 매출도 140조원을 돌파하며 국내 디지털 산업의 성장세를 입증했다.
25일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발표한 '2025 SW 천억클럽'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회계연도 기준 매출액 300억원 이상 SW 기업의 총매출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140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대 규모다.
특히 매출 1조원 이상 '조클럽' 기업은 전년보다 1개사 늘어난 23개사로 집계되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이들 기업의 총매출은 86조6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성장해 전체 SW 산업 매출의 61.6%를 차지했다.
매출 구간별로 보면 '5천억클럽'은 22개사로 매출액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14조9천억원이며 '1천억클럽'은 122개사로 7개사가 새로 진입해 총매출 7.4% 늘어난 26조8천억원을 기록했다.
1천억원 이상 기업은 총 167개사로 집계됐으며 전체 SW 산업 매출의 91.3%를 차지하며 대형 기업 중심의 산업 구조가 더욱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클럽으로 새롭게 진입한 기업도 공개됐다. 네오플과 NHN KCP가 올해 처음 조단위 기업 반열에 올랐다. 네오플은 1조3천783억원, NHN KCP는 1조1천5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기존 5천억클럽에서 조클럽으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 KOSA, 메가존클라우드와 국내 AI·SW 기업 13곳 日 진출 돕기 앞장2025.11.20
- "경주를 AI 제조혁신 허브로"…KOSA·경주시, AI 산업 협력2025.10.29
- AI 산업 인재양성 허브 출범…KOSA, 민·관 협력체계 운영 시동2025.10.23
- 美 날아간 KOSA, 韓 AI 스타트업 글로벌 입지 확대 위해 나섰다2025.10.16
반면 매출 300~500억원 구간의 기업 수는 감소세를 보여 중견 기업의 상향 이동 및 구조조정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500억클럽'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1개사 감소했다. '300억클럽'은 전년보다 17개사가 줄어든 112개사로 조사됐다.
KOSA는 "2025 SW천억클럽 기업을 대상으로 'SW 천억클럽 확인서'를 발급해 기업의 홍보와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