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AI 경쟁에 주가 70% 급등…시총 4조달러 눈앞

엔비디아·애플·MS 이어 4번째…제미나이3 호평·클라우드 반등에 투자심리 회복

컴퓨팅입력 :2025/11/25 10:36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랠리에 힘입어 시가총액 4조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는 등 엔비디아, 애플에 이어 초대형 AI 빅테크 클럽 합류를 예고하고 있다.

25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알파벳 주가는 5% 넘게 급등해 장중 최고 315달러 안팎까지 올랐다. 시가총액은 3조8천200억달러 수준으로 4조달러 달성을 눈앞에 뒀다.

알파벳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약 70% 상승해, 인공지능 경쟁자로 꼽히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닷컴보다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알파벳

시총 4조달러는 그동안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정도만 달성한 성과다. 아직 이 수준을 유지하는 기업은 엔비디아와 애플 두 곳뿐이다. 알파벳이 이를 넘어설 경우 미국 증시 내 4조달러 빅테크 구도가 다시 재편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랠리는 알파벳을 둘러싼 투자자 인식이 급격히 반전된 결과라는 평가다. 2022년 챗GPT 등장 이후 한동안 시장에서는 알파벳이 오픈AI에 AI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생성형 AI의 핵심 기반 기술 상당수를 구글이 먼저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용 서비스와 제품 전략에서 뒤처졌다는 비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분위기는 달라졌다. 알파벳은 그동안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3인자로 평가받던 클라우드 사업을 성장 축으로 끌어올리고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를 신규 투자자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새 AI 모델 '제미나이 3(Gemini 3)'가 초기 시장에서 호평을 받으면서 기술 경쟁력에 대한 신뢰도 회복되고 있다.

다만 일부 기업인과 시장 관계자들은 최근 AI 관련 주가 상승세가 실적, 사업 기반보다 너무 앞서가고 있다며 AI 버블을 연상시킨다고 경고한다. 오픈AI와 엔비디아 사이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투자 및 공급 계약 등 ‘순환 거래’ 구조가 가치 왜곡을 키운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상당수 애널리스트는 알파벳의 AI 경쟁력이 여전히 견고하다고 보고 있다. 검색과 유튜브,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나오는 막강한 현금 흐름에 더해 엔비디아 고가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의존하지 않는 자체 프로세서인 TPU를 확보하고 있어서다. 

이를 활용해 인터넷 검색과 광고, 클라우드, 생산성 도구 전반에 AI를 내재화하면서 이미 수익 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모틀리풀의 프로스퍼 주니어 베이키니 애널리스트는 "이 빅테크는 AI를 비롯해 자율주행차와 같이 혁신적이고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새로운 분야에도 참여하고 있다"며 "더 나아가 브랜드 인지도, 클라우드 컴퓨팅의 전환 비용, 그리고 인터넷 검색의 네트워크 효과 덕분에 강력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주요 반독점 위협을 제거한 이후 알파벳의 전망은 그 어느 때보다 밝아 보인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