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이 지역 주력산업의 AI+X 전환 지원하는 융합 협력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산학연협의회를 출범시켰다.
산학연협의회는 내년 3월 개원하는 G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과 지역 산업계를 연결하는 핵심 허브 역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협의회는 ▲산학연 공동 R&D ▲기술경영·인공지능(AI) 전문 인력 양성 ▲전장·모빌리티 기업 대상 문제 해결형 PBL(Problem-Based Learning) 프로젝트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 등 실무형·현장형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GIST 임기철 총장은 “G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은 ‘AI+X 기술경영’을 핵심 비전으로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며 “이번 행사에서 확인된 산업계와 연구계의 높은 관심과 참여는 광주의 기술혁신 역량이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임 총장은 또 "출범한 산학연협의회를 중심으로 현장 수요 기반의 연구, 기업 맞춤형 교육, 산업지능화 프로젝트를 추진해 광주가 남부권 기술혁신의 중심 허브로 확고히 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GIST는 또 산학연협의회 출범과 함께 광주 본원에서 ‘2025 한국미래모빌리티인지센서학회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광주광역시와 산업통상부가 공동 주최하고, GIST와 한국미래모빌리티인지센서학회가 공동 주관했다.
이틀간 진행된 학술대회에는 현대자동차,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한국자동차연구원, HL만도, 에스오에스랩(SOSLAB) 등 국내 주요 모빌리티·센서 기업 및 연구기관이 대거 참여해 AI를 활용한 센서 통합 기술, 자율주행차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 기술, 차량 부품 고장 예측 기술(PHM), 이미지 센서와 라이다(LiDAR) 센서 오염 대응 기술, 항공 모빌리티 기술 등 미래 모빌리티 핵심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관련기사
- GIST,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실증 "시동"2025.09.24
- 전기차에 붙이면 '끝'…리셀 '차세대 필름형 태양전지' 4종 관심2025.09.11
- GIST "박사학위 따기까지 1인 평균 SCI 논문 5.2편 쓴다"2025.08.17
- GIST, 동문 기업 제이엔티㈜로부터 1억원 상당 기부받아2025.07.28
G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김상호 원장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광주는 AI·미래차·센서 산업을 아우르는 첨단산업 중심도시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게 됐다”며 “산학연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기술 혁신과 연결되는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10월 출범한 G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MOT)은 내년 3월 개원할 예정이다. AI 중심 첨단전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지역 산업의 기술혁신을 이끌 핵심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