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기업, 3년간 신입 채용 줄인다…韓도 포함

IDC, 'AI 앳 워크' 보고서 발표…한국 기업 93% "직무 변화 이미 체감"

컴퓨팅입력 :2025/11/20 15:00    수정: 2025/11/20 16:12

한국을 포함한 세계 기업 절반 이상이 앞으로 3년간 신입 채용을 줄일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딜이 시장조사 기관 IDC에 의뢰한 '인공지능(AI) 앳 워크: 글로벌 인력 시장에서 AI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AI 확산으로 인해 글로벌 노동시장이 이같이 바뀔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22개국의 비즈니스 리더 5천500명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고서는 전 세계 기업의 66%가 향후 3년간 초급 인력 채용을 줄일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중 91%는 이미 직무 변화 또는 대체가 진행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에서도 동일한 흐름이 나타나 응답자의 61%가 초급 채용 축소를, 93%가 직무 변화 또는 대체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기업 절반 이상이 앞으로 3년간 신입 채용을 줄일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딜)

AI가 가장 먼저 영향을 미친 영역은 주니어 직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단순·반복 업무의 자동화로 초급 인력의 역할 축소를 지목했다. 전체 기업의 71%는 학습형 일자리 감소로 차세대 리더 육성이 어려워졌다고 답했고, 69%는 초급 직원의 온더잡 학습 기회가 줄었다고 평가했다. 한국에서는 각각 72%, 70%가 이런 어려움을 호소했다.

글로벌 기업의 67%는 이미 사내 AI 교육 또는 리스킬링 프로그램에 투자하고 있으나, 직원 참여 부족과 예산 제약, 전문 강사 부족 등이 장애 요인으로 꼽혔다. 한국 기업 역시 65%가 재교육에 투자하지만 59%는 전문 강사 부족을 가장 큰 한계로 지적했다.

보고서는 AI 확산이 채용 기준을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 중 대학 학위를 필수로 요구하는 곳은 5%에 불과했고, AI 도구 자격증, 코딩 부트캠프 수료, 문제 해결 능력, 실무 경험 등이 더 중요한 역량으로 떠올랐다. 전체 기업의 66%는 학위보다 기술 중심 기준으로 인재를 채용한다고 답했다.

AI 도입 과정의 현실적 어려움도 드러났다. 한국 기업의 47%는 ‘AI 인재 부족’을 가장 큰 장애물로 꼽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난이도도 뒤를 이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65%가 채용 과정에서 AI 인식 부족과 인재 부족을 문제로 지적했으며, 한국은 71%가 AI 전문 인력 부족을 체감했다고 답했다.

AI 인재 확보 경쟁도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기업 절반은 AI 전문가에게 25~100% 높은 연봉을 지급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25%는 AI 전문가 유치를 위해 50% 이상 높은 연봉을 제시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22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였다.

AI 규제와 거버넌스 측면에서도 국가 간 격차가 확인됐다. 전 세계 기업 중 16%만이 자국 AI 규제를 잘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24%만이 규제가 명확하고 비즈니스 친화적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에서는 절반인 50%가 국내 AI 규제를 잘 모른다고 했고, 명확하고 친화적이라고 본 비율은 21%에 그쳤다.

관련기사

크리스 마셜 아이디시 아태 AI 담당 부사장은 "AI는 인류가 경험한 그 어떤 기술보다 빠르게 노동시장을 재구성하고 있다"며 "성공적인 기업은 자동화와 인간 중심의 비전을 결합해 리스킬링과 리더십 육성을 함께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닉 카티노 딜 글로벌 정책 총괄은 "이번 연구 결과는 AI가 일하는 방식과 비즈니스 운영 전반을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초급 직무의 성격과 기업이 요구하는 역량 모두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이제 근로자와 기업 모두가 이 변화에 신속히 적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