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개발 양자내성암호 '에이머'는 어떤 기술?..."일방향 함수 방식"

김성광 보안알고리즘연구소 박사 소개..."수학적 난제 방식보다 더 안전"

컴퓨팅입력 :2025/11/17 21:39

삼성SDS가 자체 개발한 양자내성암호(PQC) '에이머(AIMer)'의 내부 구조와 최신 개선 사항을 공개했다.

김성광 삼성SDS 보안알고리즘연구소 박사는 17일 이화여대 학생문화관 소극장에서 개최된 '2025 양자내성암호연구단 컨퍼런스'에서 에이머의 구조와 기술을 상세히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삼성SDS가 자체 개발한 양자내성암호(PQC) '에이머(AIMer)'의 구조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김성광 삼성SDS 박사.

에이머는 올해 1월 최종 선정된 4개의 양자내성암호 중 하나로, 삼성SDS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산학협력으로 개발한 알고리즘이다. 국가공모전인 'KpqC(한국형양자내성암호) 공모전'에서 '전자서명용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 분야에서 최종 알고리즘으로 선정됐다.

에이머는 소인수분해와 같은 수학적 난제 기반이 아닌 자체 개발한 일방향 함수(one-way function) 기반의 암호 알고리즘이다. 일방향 함수 방식은 한 번 암호화하면 다시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해 양자컴퓨팅 환경에서 수학적 난제 방식보다 더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김 박사는 이날 컨퍼런스에서 에이머의 특수한 입·출력 방식과 수천개 파티의 압축하는 기술력, 검증 절차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또한 에이머 표준 문서의 업데이트 방향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는 KpqC 공모전에 최종 선발된 4개 알고리즘에 대해 김태경 크립토랩 박사, 김종현 고려대 박사가 각각 소개했다. 선정 알고리즘은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범국가 양자내성암호 전환 마스터 플랜에 따라 국내외 기준에 맞게 표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삼성SDS도 에이머를 국내외 기준에 적합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