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13일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임원 수를 대폭 줄였다. 임원의 실질적인 책임과 역할을 키우겠다는 뜻이다. SK텔레콤은 이를 두고 강소화 임원 구조를 통해 대외 환경 변화에 따라 조직 유연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날 신규 임원 인사와 함께 조직을 개편하면서 SK텔레콤 본사 기준 임원 수는 80여명으로 축소됐다. 또 여러 임원이 센터장과 개별 조직의 장을 겸직으로 맡았다.
조직은 크게 보면 통신(MNO)과 AI 사업 조직을 사내회사(CIC) 형태로 개편해 양대축으로 삼고,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된 스태프 조직을 구성했다.
한명진 CIC장이 수장을 맡은 MNO 부문은 3본부, 2센터 체제로 구축됐다. 프로덕트브랜드본부(윤재웅), 세일자마케팅본부(구현철), 엔터프라이즈사업본부(김구영), AT/DT센터(이현준), 네트워크센터(류정환, CSPO 겸임) 등으로 재편됐다.
MNO CIC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이를 통해 경쟁력을 되살리기 위한 조직 재정비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석근, 유경상 공동 CIC장이 이끄는 AI 사업 조직은 기존 사대 사업부 체제에서 별도 분류를 두지 않고 에이닷, AD데이터센터, AI 사업 유형, 기술개발 등 각각의 성격에 맞게 프로젝트 단위로만 나눴다.
AI CIC는 실질적인 사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데 중점을 뒀다. 특정 범주로 나누지 않고 AI 조직 전체 유연성을 강조한 점이 특징이다.
스태프 조직은 GC센터(김도엽), CFO를 겸하는 코퍼레이트센터(박종석), CISO를 맡는 통합보안센터(이종현), 컴센터(윤성은), 기업문화센터(라만강) 등으로 꾸려졌다.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비롯해 양대 CIC 조직의 사업 지원, 재무, 인사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관련기사
- SK텔레콤 2026년 임원인사 명단2025.11.13
- SKT, MNO-AI 양대 사내회사 중심 조직개편2025.11.13
- 통신3사 무선서비스 매출 변동폭 확 커졌다2025.11.09
- 3만5천명 몰린 'SK AI서밋', 글로벌 AI 플랫폼으로 진화2025.11.05
올해 겪은 사이버 침해사고와 그에 따른 수익성 악화, AI 사업의 경쟁 다각화 등이 맞물리면서 임원 감축을 통한 책임 소재 명확화를 골자로 한 개편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회사 한 관계자는 “고객 신뢰와 성과라는 과제가 명확하다”며 “단순히 임원의 축소가 아니라 성장을 되살리기 위한 조직 재정비에 중점을 둔 개편의 성격이 강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