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반도체 성장이 지속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수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크 아인슈타인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애널리스트는 12일 서울 섬유센터에서 열린 '카운터포인트 2026 테크트랜드'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하며 내년 산업 동향을 제시했다.
그는 "AI 생태계의 매출액은 매해 급증하지만 매출 80%가 AI 인프라와 반도체에 집중되어 있다"며 "AI 모델 및 프레임 워크는 4%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AI인프라 경쟁력은 향후 소버린 AI 및 각국의 AX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이 될 것"이라며 "에이전틱 AI의 부상으로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수익 모델이 등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내 주요 기업 및 증권사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로보틱스, 반도체, 스마트폰 등 미래 기술 생태계 변화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카운터포인트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스마트폰 시장의 중장기 전망 ▲메모리·파운드리 산업의 글로벌 경쟁 구도 ▲AI 확산에 따른 산업 재편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로봇 및 XR/MR 글라스 등 차세대 성장 분야 전망과 전략 등을 분석했다.
반도체 세션에서는 내년 메모리 가격 전망이 참여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카운터포인트 측은 "내년 D램 가격이 50% 이상 상승할 것"이라며 "레거시 D램 공급 또한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AI 확산으로 메모리 시장의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창사 이래 처음으로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