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이 원재료 가격 상승과 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 매출 호조에 힘입어 3분기 양호한 실적을 냈다.
오리온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천2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0.6% 증가한 1천379억원을 기록했다.
1~9월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4% 성장한 2조4천79억원, 영업이익은 1.8% 증가한 3천907억원을 기록했다. 해외매출 비중은 68.8%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둔화, 소비심리 위축 등 어려운 경영 환경이 이어졌으나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성장 채널 중심의 영업 전략이 주효하며 매출이 늘었다”고 말했다.
특히 러시아 법인이 두 자릿수 고성장을 지속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초코파이 수박, 후레쉬파이, 알맹이젤리 등 다제품군 체제가 자리잡으며 현지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어, 향후 매출 성장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법인에서는 꼬북칩, 참붕어빵, 예감 등의 수출이 늘며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카카오, 유지류, 아몬드 등 주요 원재료의 단가 상승으로 제조원가 부담이 가중됐지만 생산 효율 개선과 비용 효율화로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
법인별로 보면 한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한 2천826억원, 영업이익은 3.8% 감소한 421억원을 기록했다. 내수 소비 부진과 거래처 폐점이 이어졌으나, 저당 그래놀라·바의 국내 수요 증가와 ‘K-스낵’ 인기 확산에 따른 미주 수출 확대가 성장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참붕어빵 자율회수에 따른 54억원 규모의 일시적인 비용 반영에도 불구하고, 생산·운영 효율화와 비용 관리 강화를 통해 감소폭을 최소화했다는 설명이다.
중국 법인 매출은 3천373억원, 영업이익은 6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7%, 5.4% 증가했다. 할인점 등 전통 채널의 부진 속에서도 간식점, 편의점, 이커머스 등 고성장 채널 중심으로 전략을 재정비한 것이 주효했다. 특히 빠르게 늘고 있는 간식점에 전용 제품을 확대하며 매출 성장세를 이끌었다.
영업이익은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시장비 부담이 이어졌지만, 생산 효율 개선과 프로모션 효율화 등 수익성 관리에 주력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베트남 법인은 내수 소비 둔화, 환율 영향으로 매출이 1% 줄어든 1천205억을 기록했으나, 판매물량 기준으로는 1.5%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원재료 가격 상승과 글로벌기업과의 감자스낵 경쟁 심화로 시장지배력 강화를 위한 시장비가 반영되며 10.7% 감소한 213억원이다.
관련기사
- 오리온, 상반기 매출 7.6% 증가…원재료값 상승에도 영업익 늘어2025.08.14
- 삼양식품 5배 뛰는 동안 8% 성장 그친 오리온...왜2025.08.11
- '참붕어빵' 곰팡이 나와...오리온 "전량 회수"2025.07.24
- 오리온그룹, 윤리 경영 10년..."건강한 성장 지속"2025.04.25
러시아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7% 성장한 896억원, 영업이익은 26.9% 증가한 117억 원을 달성했다. 현재 공장가동률이 120%를 넘어설 정도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생산량을 최대 수준으로 운영 중이다. 원재료 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 성장에 따라 이익도 크게 증가했다.
인도 법인 매출은 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7% 성장했지만, 영업손실은 40억원을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