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부는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의 총사업비를 3천26억원(국비 2천726억원) 규모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해 8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후 그간 적정 사업비 규모에 대해 관계부처 협의를 진행해 왔다.
‘판기술’은 미래 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가능성이 있으나 실패 가능성이 높은 도전적 기술 분야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 기업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과감히 도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리스크를 분담하고자 기획했다.
그간 산업부는 도전혁신형 R&D 활성화를 위해 2022년 알키미스트 프로젝트를 도입해 총 16개 테마를 선정·지원해 왔다. 이번 판기술 프로젝트는 알키미스트 후속 사업으로 총 10개 테마를 추가 지원한다.
관련기사
- 산업부, 반도체 등 R&D에서 AI 활용 본격화2025.03.10
- 산업부, 자율주행 등 첨단기술 확보 및 핵심부품 공급망 확충에 5천억원 투입2025.02.14
-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 출범…R&D·인프라·인력양성 등 종합 지원정책 마련2025.02.11
- 새해 산업부 R&D 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2025.01.01
판기술 프로젝트는 소규모 나눠주기식 연구개발(R&D)에서 벗어나 테마별로 최장 8년간, 약 250억원 내외를 지원하는 중장기 대형 프로젝트다. 정부가 미래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10개(2026년 3개, 2027년 3개, 2028년 4개) 테마를 선정하면,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테마별 기술개발 과제를 기획하고 정부는 연구자들의 창의·혁신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연구과정은 테마별로 4단계에 걸쳐 과제들 간 경쟁형 R&D 방식으로 진행한다. 원천기술 개발까지만 지원했던 알키미스트와 달리, 판기술 프로젝트는 실제 상용화를 목표로 사업화 기술개발(실증·시제품, 생산공정 등)까지 지원한다.
제경희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혁신기술 중심의 진짜 성장을 위해서는 도전형 R&D가 필수이며,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DARPA에 버금가는 성공 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