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3분기에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한 반면, 순이익은 관세와 환경규제 완화 등 악재로 급감했다.
테슬라는 22일(현지시간) 지난 3분기 매출 281억 달러(약 40조 3천억원), 영업이익 16억2천400만 달러(약 2조 3천억원), 순이익 13억7천만 달러(약 1조 9천억원), 주당 순이익 0.5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월가 전망치인 263억7천만 달러를 넘겼지만, 주당 순이익은 전망치인 0.54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 증가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올해 들어 2분기 연속 매출이 감소하다 3분기 들어 반등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 종료를 앞두고 소비자들이 미리 차량을 구매하는 흐름이 매출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테슬라의 3분기 전기차 인도량은 49만7천여대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올해 누적 인도량은 약 12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6% 가량 감소했다.

3분기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량도 12.5GWh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준 영업이익은 40%, 순이익은 37% 감소했다. 관세와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과 더불어 회사 주 수입원인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 감소 등이 영향을 끼쳤다. 테슬라의 3분기 탄소배출권 매출은 4억1천700만 달러(약 6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44% 줄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온실가스 배출 규제 철회를 추진하면서 완성차 기업들이 탄소배출권을 구매할 필요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날 회사는 중장기 성장 전략으로 향후 2년 내로 연간 전기차 생산능력(CAPA) 300만대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보택시 ‘사이버캡’은 시범 서비스를 연말까지 8~10개 대도시에서 개시할 계획이다.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1세대 생산라인을 구축 중이며, 내년 말 생산을 개시한다는 목표다.
사이버캡과 전기트럭 ‘세미’, 차세대 ESS 제품 ‘메가팩3’는 내년 양산을 예고했다.
실적발표 후 테슬라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3.8% 하락한 422달러 대로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