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카카오톡의 친구탭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처럼 사용할 수 있게 개편한다. 메신저 본연의 소통 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개인 사생활 보호와 실시간 콘텐츠 경험을 결합해 카카오톡을 ‘생활형 소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전략이다.
카카오는 23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이프 카카오(if kakao) 25' 행사를 열고 새롭게 변화하는 카카오톡의 모습을 공개했다.
친구탭, 소셜 피드와 프라이버시 강화로 SNS 처럼 이용
개편된 친구탭은 피드형 사용자 화면(UI)을 도입해 친구들의 프로필 변경 내역과 발행 소식을 타임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전처럼 일일이 프로필을 누르지 않고도 스크롤만으로 최신 업데이트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프로필 홈 역시 격자형 피드로 재구성돼 사진, 배경, 상태 메시지, 게시물 업데이트를 모아볼 수 있다.

특히 사생활(프라이버시) 기능이 강화됐다. ‘친구에게만 게시물 공개’가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프로필 변경 시 자동 생성되는 게시물을 ‘나만 보기’로 전환할 수 있다. 게시물 업로드 시에도 ▲내 친구 ▲친한 친구 ▲나만 보기 등 공개 범위를 세분화할 수 있고, 좋아요와 댓글 역시 익명성과 연결 차단을 고려해 설계됐다. 이용자가 원치 않는 소식을 보지 않도록 ‘친구 숨김’ 기능도 추가됐다.

카카오는 이번 개편을 기존 기능 확장의 연장선으로 설명했다. 2021년 ‘업데이트 프로필 모아보기’, 2022년 ‘공감 스티커’, 2023년 사라지는 콘텐츠 ‘펑’ 등 지속적인 실험이 이어져 왔다.
오픈채팅탭, ‘지금탭’으로 개편…숏폼·커뮤니티 강화
세 번째 탭인 오픈채팅탭은 ‘지금탭’으로 개편된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텍스트와 이모티콘을 넘어, 숏폼 콘텐츠와 실시간 커뮤니티 대화를 동시에 즐기는 새로운 대화 방식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 카카오톡, ‘안읽씹’ 기능 도입…답장 부담↓2025.09.23
- 카톡에 들어간 챗GPT..."가장 혁신적인 AI 경험 제공"2025.09.23
- 카카오톡서 챗GPT 쓴다...일상 피드 올리는 친구탭으로 개편2025.09.23
- AI 시대, 'HR의 현재와 미래' 바로 짚고 전망한다2025.09.17
카카오톡에서 공유된 숏폼은 채팅방 안에서 바로 재생되며, 친구들과 동시에 시청·반응할 수 있다. 기존에는 외부 숏폼 플랫폼에서 링크를 공유하는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발견-공유-대화가 한 공간에서 이뤄지는 통합 경험이 가능해졌다. 카카오는 이를 위해 숏폼 스튜디오 운영, 창작자 공모전, ‘카나나’ 기반 숏폼 생성 기능 등 크리에이터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오픈채팅은 ‘오픈채팅 커뮤니티’를 통해 주제별 실시간 대화 피드로 진화한다. 무한 스크롤 형태의 피드에서 지금 가장 뜨거운 화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댓글 기능 도입으로 특정 에 집중된 대화도 가능해졌다. 하루 1천만 명이 모이는 오픈채팅은 카카오톡 내 대규모 커뮤니티 허브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