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합동 전 영역 지휘통제(JADC2) 개념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심임보 재스위스한인과학기술자협회(KSEAS) 명예회장은 10일 대전 계룡스파텔에서 국방소프트웨어협회(회장 황일선)와 대전방위산업연합회(회장 이계광) 주최로 열린 '국방 AI SW 산·학·연·군 융합기술 교류 컨퍼런스'에서 초청강연자로 나서 이 같이 언급했다.
이 행사는 국방부가 후원하고, HPEKOREA가 협찬했다. 육군본부 정책실, 육군 정보통신학교, 해군 지능정보체계단, 합동상호운용성기술센터, 육군지능정보기술단 실무진을 비롯한 산학연군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심임보 명예회장은 이날 "우리 군도 지난 2023년 내놓은 국방혁신 4.0에 JADC2 개념이 언급만 되어 있고, 아직까지 진전이 전혀 없다"며 "미국은 이미 이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JADC2'는 독일 해군 정의에 따르면 다중 영역 작전을 의미한다. 항공,육지, 바다, 우주, 사이버 및 정보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대량 데이터 분석과 AI를 통합하자는 첨단 군 운용 시스템이다. 종국에는 무인 시스템과 접목시키려는 미래 군 전략 개념과 상통한다.
데이터와 인공지능, 심층 네트워킹, 센싱 그리드, 전투 관리 등을 모두 합친 최상위 '포식자'인 셈이다.
실제 미국은 현재 DARPA가 모자이크 전쟁, 공군은 ABMS, 육군은 프로젝트 컨버전스, 해군은 프로젝트 오버매치라는 이름으로 JADC2 개념 도입이 추진 중이다.
심 명예회장은 4족 로봇 임무 수행을 예시로 제시했다. 4족 로봇의 역할을 1단계에선 초기 목표 설정 및 임무부여, 2단계 컨텍스트 획득(환경인식), 3단계 계획 수립 및 교전 의사 결정, 4단계 행동 실행 및 피드백 등으로 나눠 볼 때 이를 JADC2 개념으로 육해공군 등이 전방위적으로 통합 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 명예회장에 이어 두번 째 초청강사로 나선 예기헌 세종대 교수는 우주항공전에서의 에이젠틱 AI를 주제로 강연해 관심을 끌었다.
예 교수는 "오는 2028년이면 더이상 새로운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해외는 현재 포스트 트레이닝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기존 데이터를 재가공하는 등 언어모델이 스스로 묻고 답하는 에이전트 AI로 간다"고 말했다.

예 교수는 또 AI가 AGI(인간과 유사한 능력을 가진 AI)를 거쳐 ASI(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슈퍼AI) 로 점차 진화 중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외부 유출 절대 없다"…코난, '철통보안 AI'로 공공기관 정조준2025.08.28
- "통제불능 AGI, 인류 대체할 '지적 외래침입종' 될 수 있다"2025.08.24
- "미국이냐 중국이냐"…AGI, 독점하면 세계 지배, 실패하면 '공멸'2025.07.27
- 코난테크놀로지-TG삼보, 생성형 AI 어플라이언스 본격화…차세대 PC 시장 공략2025.03.04
이어진 세션에서는 KISTI 홍태영 슈퍼컴퓨팅본부장이 슈퍼컴퓨터 6호기 현황 소개, 알티스트 이대우 AI 팀장이 SDLC(SW개발 라이프사이클) 지원방안을 소개했다.
또 오후 2부에서는 LIG 넥스원(김동환위원), 코난테크놀로지(김규훈 이사), 한화시스템(김성철 SW연구소장),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문미선 차장), (주)이노센트(김용원 대표), 한컴인스페이스(김홍봉 전무), 대전테크노파크(조수현 센터장)가 각각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