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위치 바꾸며 난다"…中, 극초음속 드론 모함 개발 중

중국 연구진, 사선날개 항공기 기술 개발 중

과학입력 :2025/08/19 14:33    수정: 2025/08/19 20:08

중국 개발자들이 그 동안 성공한 적 없는 ‘사선날개(oblique wing)’ 기술을 기반으로 한 극초음속 드론 모함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 등 외신들이 최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설계는 중앙 장착 날개가 아닌 항공기 속도에 따라 날개가 최대 90도까지 회전하는 독특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NASA의 사선날개 항공기 ‘AD-1’의 모습 (사진=NASA/위키피디아)

‘사선 날개’라는 개념은 1940년대 초에 처음 제안된 것이다. 일반적인 항공기 날개는 좌우가 대칭으로 같은 각도를 이루지만, 사선날개는 한쪽 날개는 앞으로 있고 다른 쪽 날개는 뒤로 기울어진 비대칭으로 구성된다. 또, 저속에서는 날개가 수직으로 정상적으로 펴져 이착륙과 비행이 이루어지지만 고속에서는 날개가 회전해 동체에 거의 밀착돼 비행기 전체가 초음속 화살처럼 보인다.

197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AD-1이라는 사선날개 항공기를 실험했으나 안정성 문제가 불거지며 해당 프로젝트는 중단됐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중국 연구진은 슈퍼컴퓨터와 인공지능(AI)을 포함한 현대 기술을 결합했다.

이를 통해 비행 중 항공기 주변의 기류를 모델링하고 예측하고, 비행 시 발생하는 극심한 열 등을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 소재와 센서를 개발 중이다. 마하 5의 극초음속에 도달하면 날개는 회전을 마치며 동체와 평행하게 정렬돼 날개에서 생기는 양력과 연료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개발 중인 사선 날개 항공기 개념이 성공할 경우, 상당한 전투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예를 들어, 최대 속도 마하 5(시속 6천km), 고도 30km를 비행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드론의 모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항공기는 16~18대의 자율 드론을 탑재할 수 있으며 극초음속 모함으로 적의 방어체계가 반응하기 전에 적진 후방에 드론을 투하한 후 자율적으로 기지로 복귀할 수 있다.

물론, 기술 개발에 어려움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마하 5의 속도에서는 항공기 외부 온도가 1천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반면, 내부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부품인 ‘피벗 샤프트’는 낮은 온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차체 구조에 무리를 줘 기체에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관련기사

따라서 최종 항공기에는 예비 부품, 실시간 스트레스 모니터링, 그리고 피벗 고장에 대비한 백업 시스템이 필요하다. 익명의 항공 전문가는 SCMP에 "예비 부품은 필수적"이라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날개를 안정적인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다중 백업 시스템, 실시간 변형 모니터링, 마이크로초 수준의 진단, 안전 잠금 장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중국 연구진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과거 시대에 앞서 있었지만 기술의 제약을 받았던 아이디어가 다시 부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