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퀴닉스, 데이터센터 전력난 대응…글로벌 에너지 기업 맞손

오클로·래디언트·ULC에너지·스텔라리아·블룸 에너지 등과 협약

컴퓨팅입력 :2025/08/18 16:13

에퀴닉스가 전 세계 인공지능(AI) 확산으로 급증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 손잡았다.

에퀴닉스는 원자력 기업인 오클로를 비롯한 래디언트, ULC에너지, 스텔라리아와 연료전지 업체 블룸에너지와 협력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를 통해 전력망 부담을 완화하고 고객에게 확장성과 복원력 갖춘 전력 인프라를 제공할 방침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7년까지 세계 전력 소비가 연 4%씩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데이터센터 확대와 AI 활용 증가, 전기화 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기존 전력망의 노후화 문제와 공급 부족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에퀴닉스 IBX 데이터센터에 구축된 블룸 에너지 연료 전지. (사진=에퀴닉스)

이에발맞춰 에퀴닉스는 다각화된 전력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그리드 강화를 위한 신규 변전소 건설, 정전 시 고객사를 지원하는 비상 백업 솔루션, 연료전지와 천연가스를 활용한 전력 확보, 첨단 원자력 기술 개발 투자를 병행한다.

또 2024년 소형 모듈 원전 기업 오클로와 협약을 맺어 50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을 조달하기로 했으며, 래디언트의 마이크로 원자로 20대를 사전 주문했다. 네덜란드 데이터센터에는 ULC에너지가 개발 중인 롤스-로이스 소형모델원자로(SMR)를 통해 250MWe의 전력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프랑스 스텔라리아와는 500MWe 규모의 사전 계약을 체결했다. 스텔라리아가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용융염 원자로는 연료 재활용과 장기 폐기물 연소 기능을 갖춰 지속가능성이 높다는 평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연료전지 분야에서는 블룸 에너지와 10년 이상 협력해 왔다. 최근에는 6개 주 19개 이상의 데이터센터에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를 확대 설치하며 100MW 이상의 전력을 확보했고,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환산 28만 5천 톤의 온실가스 배출과 382억 갤런의 물 사용을 줄였다.

라우프 압델 에퀴닉스 글로벌 운영 부문 부사장은 "AI 기반 신약 개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까지 24시간 전력이 필요하다"며 "신뢰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인프라 개발은 필수적이며, 에너지 파트너와 함께 전 세계 고객과 커뮤니티의 수요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