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가 살면 더 오래 산다"...이유는?

"더 나은 공기 질·여가 기회·사회경제적 지위 덕"...내륙 물가는 수명 단축

과학입력 :2025/08/17 14:00    수정: 2025/08/17 16:40

바다나 호수 등 물가에 사는 것이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하지만 수명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최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이 발표한 새로운 논문은 ‘해변’과 ‘내륙의 강·호수 주변’이 평균 수명에 미치는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 주목된다. 관련 내용은 사이언스다이렉트·사이언스얼럿 등 외신이 전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전역 6만6천여 개 인구통계구를 대상으로, 질병예방통제센터(CDC)의 평균 수명 자료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수역 데이터 세트를 분석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 전체 인구조사구의 평균 수명은 78.3세였으며, 지역별로는 최저 56.9세에서 최고 97.5세까지 큰 편차를 보였다. 또 전체 인구의 49%가 남성, 51%가 여성이었고 65세 이상 인구는 14.9%였다.

해안 지역 주민, 평균보다 오래 살아

부산 해운대(제공=클립아트코리아)

분석 결과, 바다나 만(灣)에서 30마일(약 48km) 이내에 거주하는 ‘연안 지역 주민’은 평균 수명이 더 길었다. 연구 책임자인 장용 우 오하이오주립대 조교는 “해안 지역 주민은 전체 평균인 79세보다 약 1년 더 오래 살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내륙의 강이나 호수 인근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평균 수명이 오히려 짧아 약 78세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았다. 다만 내륙의 물가라도 농촌 지역 거주민은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장수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해안 지역만큼은 아니지만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왜 해변은 수명을 늘릴까?

해양 스포츠(제공=클립아트코리아)

해안 거주민이 장수하는 이유로는 온화한 기후, 더 나은 공기 질, 여가·레크리에이션 기회 등이 꼽혔다. 또 해변 지역의 높은 부동산 가격이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를 반영해, 건강 및 수명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관련기사

연구 공저자인 야니 카오 연구원(박사)은 “내륙 물가의 경우 오염, 빈곤, 안전한 운동 공간 부족, 홍수 위험 증가 등이 평균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요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즉, 물가 거주의 이점이 도시 환경에서는 상쇄될 수 있다는 의미다.

우 연구원은 “우리는 모든 수변 공간이 비슷한 건강상의 이점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연안 거주민과 내륙 거주민 사이에서 이렇게 뚜렷한 차이가 나온 것은 놀라운 결과”라며 “분명히 연안 지역 주민들이 더 오래 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