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쓰' 미카(MiCA) 등록 완료... 유럽 시장 진출 본격화

장현국 넥써쓰 대표 "합법 프로젝트에 역대 가장 유리한 환경”

디지털경제입력 :2025/08/12 12:00

넥써쓰(대표 장현국)은 12일 오픈게임 파운데이션(OGF)이 발행하는 유틸리티 토큰 크로쓰가 유럽연합(EU) 가상자산시장규제(미카, MiCA)에 따라 공식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등록으로 크로쓰는 글로벌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 및 국내 주요 거래소 상장에 이어 유럽 거래소 상장 요건을 충족하게 됐다.

미카는 유럽연합이 제정한 디지털자산 규제 프레임워크로, 유럽 내 거래소 상장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다. 백서 등록은 ▲발행 주체의 투명성 ▲프로젝트 신뢰성 ▲투자자 보호 장치 등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과한 크로쓰는 유럽 시장에서의 거래 기반을 공식적으로 확보했다.

크로쓰 로고

넥써쓰는 오픈게임 파운데이션과 포괄적 용역 계약을 맺고 있으며, 이번 등록을 계기로 글로벌 유통망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현재 크로쓰는 바이낸스 알파, 비트겟 등 글로벌 거래소와 코빗, 코인원 등 국내 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유럽 시장 진출로 거래 접근성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장현국 넥써쓰 대표는 12일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행정부의 강한 비전으로 디지털자산 규제 명확성이 점점 공고해지고 있다”며 “이는 의심할 여지 없이 지금까지 합법적인 프로젝트에 가장 유리한 환경”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니어스 액트 제정, 클라리티 액트 심의, SEC의 리플 소송 항소 포기 등으로 전통 금융 강국인 미국이 디지털 경제로 제도권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며 “이러한 제도 정상화는 일부 미온적인 국가에도 압박을 가하겠지만, 정치·경제·정책 여건에 따라 후퇴를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확산 전략에 대해서도 “전 세계 채택은 국경을 넘는 규제 준수가 필수지만, 발행국에서 시작해 이용국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효과적”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 미카 등록은 각국 규제에 부합하는 합법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첫 번째 발판”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스테이블코인 전략과 관련해 장 대표는 “테더(USDT)가 지니어스 액트 준수형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계획하고, 올해 1월 본사를 엘살바도르로 이전한 것은 리더십과 규제 환경의 전략적 정렬을 보여준 사례”라며 “같은 맥락에서 원화를 제외한 신흥국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유리한 관할권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 속에 민간 주도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이끌어야 한다”는 기존 입장도 재확인했다.

장 대표는 “미카 등록은 크로쓰가 글로벌 규제 환경 속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자산임을 입증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글로벌 주요 권역 거래소 상장을 발판으로 블록체인 플랫폼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