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데브옵스 현실 반영한다"…KOSA,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개정

AI 커스터마이징 비용·통합 운영 기준 세분화…공공부문 사업 산정 합리성 강화

컴퓨팅입력 :2025/08/11 14:59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인공지능(AI) 사업 대가체계 개선과 데브옵스 방식 대가기준을 반영한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2025년 개정판을 공표했다.

KOSA는 이번 개정판에서 지난해 신설된 AI 도입 대가체계의 초기모델 핵심 항목 중 하나인 '전문작업비' 명칭을 '커스터마이징 작업비용'으로 변경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통해 KOSA는 해당 항목의 세부 작업 요소를 구체화해 보다 현실성 있는 대가가 산출되도록 보완했다.

조준희 KOSA 협회장 (사진=KOSA)

커스터마이징 사업 유형은 기본형·데이터형·모델형으로 세분화했으며 유형별로 ▲요구사항 분석 ▲설계 ▲데이터 구축 ▲모델 구현 및 학습 ▲검증 및 안정화 등 주요 작업 항목을 명시함으로써 공공부문 AI 사업의 과업 범위와 비용 산정의 현실성을 높였다.

아울러 지난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대규모 정보시스템 구축체계 혁신방안'에 따라 대규모 정보화 사업이 부분별로 작업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모듈화되고 단계적 개통을 추진해 복잡도와 위험이 완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SW 개발과 운영 업무를 통합해 추진하는 데브옵스 방식의 확대가 예상돼 개발비는 기능점수 방식으로, 운영 및 유지 관리비는 투입공수 방식으로 산정한 후 합산하는 별도 대가산정 기준을 마련했다.

관련기사

운영 업무 중 통합 사업에 대한 업무활동 정의도 명시했다. 다수의 SW를 동시에 관리하는 통합사업의 경우 업무에 대한 분장과 책임소재가 불명확해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컨소시엄 구성원 간 또는 상용 SW 제조사 간의 업무 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하고자 했다.

KOSA는 "올해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개정판을 공표하면서 AI 사업은 아직 시장과 제도 간 정합성을 조율해 나가는 과도기에 있는 만큼 대가체계의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AI 사업 대가와 관련된 비용 구조와 산정기준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관계자 의견 수렴 등을 통해 가이드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