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달러 고등어" 메가플랜, 블루포인트서 프리A 투자 유치

"육상 양식 시스템 활용해 수급·환경 문제 해결"

디지털경제입력 :2025/08/06 23:58    수정: 2025/08/06 23:59

수산 기술 스타트업 메가플랜은 국내 대표 액셀러레이터 블루포인트파트너스로부터 프리A 투자를 유치했다고 6일 밝혔다.

메가플랜은 고등어 연중 산란 기술을 기반으로 육상 양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팀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고수온 현상, 미세 플라스틱과 해수 오염으로 인한 수산 식량 문제를 육상 양식을 통해 해결한다.

메가플랜 육상 양식 시스템을 통해 불안정한 수산물 공급 문제를 해결하면, 소비자는 더욱 경제적인 가격으로 수산물을 즐길 수 있다. 전 세계인이 고등어 한 마리를 1달러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고등어 육상 양식 시설 (사진=메가플랜)

메가플랜은 고등어 산란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리에서 고등어 육상 양식장을 직접 운영 중이다. 지난 1월 인공산란 1세대를 성공적으로 출하·판매한 바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고등어는 40년 동안 74%가 감소하는 등 2050년 멸종위기종으로 지목되고 있다. 메가플랜 기술은 고등어 개체 수 감소 등 식량 안보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블루포인트는 메가플랜 측이 실제 육상 양식장을 운영하며 산란 기술과 양산성을 증명한 점을 높게 봤다. 시장 흐름에 맞춘 기술과 운영 역량이 조화를 갖췄다는 분석이다.

함슬범 블루포인트 수석심사역은 "메가플랜은 육상 수족관 양식 기술을 활용해 고등어 수급 문제와 환경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팀"이라며 "산란부터 판매까지 전 주기 디지털화를 통해 고등어 양식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유철원 메가플랜 대표는 "이번 투자는 메가플랜이 그리는 '1달러 고등어'의 꿈이 현실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국내 식량 안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UN의 '제로 헝거' 프로젝트처럼 전 세계 기아를 종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메가플랜은 인포뱅크와 더벤처스 등에서 시드투자를 유치하고,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 지원프로그램 '팁스'에도 선정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