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직장인, AI 활용에 개방적…"반복 업무 피로도 여전"

드롭박스·유고브 조사 보고서…"AI 있어도 고부가가치 업무 수행 제한"

컴퓨팅입력 :2025/08/02 08:22

인공지능(AI) 시대에 한국 사무 근로자가 자료 검색과 보고서 작성 등 비핵심 업무에 여전히 시간을 허비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드롭박스가 유고브와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근로자가 AI를 업무에 도입하려는 의지는 높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비롯한 7개국 근로자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다. 

보고서는 국내 전일제·시간제 사무 근로자들이 매년 약 251억 시간을 행정 처리와 자료 검색, 보고서 작성 등 비핵심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시간은 전체 근로 시간의 44%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고부가가치 업무 수행이 제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시대에 한국 사무 근로자가 자료 검색과 보고서 작성 등 비핵심 업무에 여전히 시간을 허비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구글제미나이)

한국 응답자 2명 중 1명은 전략 회의와 의사결정 등 핵심 업무에 주당 5시간 이상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창의적 사고나 문제 해결에 할애하는 시간도 전체 업무 중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한국은 조사 대상국 중 AI 도입에 가장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국 응답자 55%는 매주 4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 AI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평균 39%보다 크게 앞섰다. AI를 절대 사용하지 않겠다는 한국 응답자 비율은 9%로 글로벌 평균인 28%보다 낮았다.

관련기사

국내 응답자는 추가 업무 시간 확보 시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완화를 우선순위로 꼽았다. 응답자 10명 중 3명은 업무량을 줄이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드롭박스는 이 결과가 반복적 업무로 인한 피로가 상당하다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드롭박스 신재용 한국·베트남 비즈니스 및 파트너 세일즈 매니저는 "업무 환경의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업무량 확대나 생산성 개선은 더 이상 핵심 과제가 아니다"며 "이제 중요한 것은 본질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