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인공지능(AI) 도입 수준은 글로벌 평균 수치보다 높지만, 생태계나 투자 환경 부문에서는 최하위라는 분석이 나왔다.
31일 세일즈포스가 발표한 '글로벌 AI 준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정부의 AI 도입과 정책 현황이 이같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16개국 대상으로 AI 규제, 도입 수준, 생태계, 투자 환경, 인재 역량 등 5개 핵심 영역을 분석한 내용으로 이뤄졌다. AI 에이전트 기술 도입 중심으로 국가별 정책 환경과 산업 적용 현황을 비교 평가했다.

AI 기술은 예측형에서 생성형, 에이전트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2년 내 AI 에이전트 도입이 현재 대비 3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AI가 단순 자동화를 넘어 의사결정과 실행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 규제 프레임워크 부문에서 10점 만점에 9점을 기록하며 싱가포르, 영국과 상위권에 올랐다. AI 도입·준비 수준은 6.7점을 기록해 제조, 스마트시티, 물류 등 주요 산업에서의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의 AI 생태계 점수는 1.8점, 투자 환경 점수는 0.8점으로 최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트업 다양성, 자본 접근성, 대규모 컴퓨팅 자원 확보 등의 측면에서 글로벌 선도국 대비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투자 환경의 경우 민간·벤처 캐피탈 유입이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큰 약점으로 꼽혔다. 파운데이션 모델·AI 인프라 개발에서도 대형 플랫폼 의존도가 높아 산업 전반의 독립적 성장 기반이 취약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은 연구개발과 스타트업 생태계 측면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보였으며, 싱가포르는 규제, 인재, 산업 확산의 균형 잡힌 전략으로 주목받았다. 영국과 캐나다는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독일은 제조 기반 AI 확산에서 강점을 보였으나 자본 유치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일즈포스는 해당 보고서에서 각국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이 AI 경쟁력 확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공공 부문의 에이전트 통합 확장, 글로벌 거버넌스 조율, 인재 양성, 중소기업 접근성 강화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관련기사
- 하정우 AI수석도 '주목'…세일즈포스, AI 에이전트 평가 시스템 공개2025.07.20
- 세일즈포스, 에이전틱 AI 시대 제조업 환경 제시2025.07.11
- "업무와 더 밀접히 연결"…세일즈포스, AI 에이전트 업그레이드2025.06.26
- [현장] "일머리·말머리 갖춘 AI"...세일즈포스, 키노트서 '에이전트포스 컴퍼니' 정의했다2025.06.18
또 국경을 넘는 연구·개발(R&D) 협력과 안전 기준 수립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글로벌 AI 질서 형성에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산업별 맞춤형 AI 활용 사례 발굴과 민관 연계도 강화가 요구된다는 설명이다.
손부한 세일즈포스코리아 대표는 "우리는 국내 기업이 AI 기술 기반 생산성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 창출이라는 실질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