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로보택시 시장이 2035년까지 900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CNEV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이같은 전망을 15일 발표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부터 2035년까지 중국 로보택시 시장 규모가 매년 평균 96% 성장해 올해 5천200만 달러(약 721억원) 수준에서 2035년 445억 달러(약 62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해 미국 로보택시 시장 규모 예상치인 365억 달러(약 51조원)를 앞지를 것으로 본 것이다. 올해 미국 로보택시 시장 규모는 3억1천400만 달러(약 4천400억원)로, 연 평균 성장률은 61% 수준으로 내다봤다.

중국 시장의 고속 성장 동력으로는 바이두, 포니AI, 위라이드 등 기업 중심의 강력한 공급망을 꼽았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와 솔루션 등 하드웨어 비용이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다.
관련기사
- 웨이모 앞지른 테슬라 로보택시 지도…모양이 왜 이래?2025.07.15
- "테슬라 로보택시, 22일 출시..28일엔 집으로 배송"2025.06.11
- 테슬라, 모델Y·로보택시로 ‘중국 쇼크’ 돌파 시도2025.05.12
- 테슬라, 中 바이두와 FSD 협력설 일축…"내비에 국한"2025.03.17
미국 로봇택시 시장 주도 업체로는 테슬라와 웨이모를 꼽았다. 테슬라는 현재 텍사스에서 로보택시를 시범 운행 중이며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트렌드포스는 테슬라가 자동차 제조 경쟁력과 시각적 솔루션 등을 토대로 타 기업 대비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웨이모에 대해선 선도 업체이지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비용을 크게 감축하지 못할 경우 테슬라에 입지를 뺏길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